문재인 대통령 "카자흐는 신북방정책 주요 파트너...잠재력 많다"

입력 2021-08-17 13:12수정 2021-08-18 11: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힌-카자흐 정상회담...토카예프 대통령 "투자 유치 사업 계속 진행"

▲<YONHAP PHOTO-1365> 인사하는 한-카자흐스탄 정상 (서울=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청와대에서 열린 한-카자흐스탄 정상회담에서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과 인사를 하고 있다. 2021.8.17 jjaeck9@yna.co.kr/2021-08-17 10:38:31/<저작권자 ⓒ 1980-2021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문재인 대통령은 17일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에게 카자흐스탄은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신북방정책의 주요파트너로서 양국 관계는 앞으로 더 발전해 갈 만한 많은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토카예프 대통령과 한·카자흐스탄 정상회담을 갖고 "이번 대통령의 국빈 방한이 양국의 우정을 더욱 깊게하고, 양국이 번영의 길로 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이 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카자흐스탄 대통령의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 협조에 관해 "카자흐스탄 국민들과 고려인 동포들이 보여주신 애정에 다시 한 번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면서 "양국 관계가 형제 국가처럼 더욱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2년 전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에 대한 답례와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과 연계해 토카예프 대통령을 국빈 초청했다. 토카예프 대통령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한국을 방문한 첫 정상이다.

문 대통령은 "2년 전 받았던 환대가 생생한데, 서울에서 뵙게 돼 매우 반갑다. 코로나 이후 한국 국민이 맞는 첫 국빈"이라며 "카자흐스탄 독립 30주년, 대한민국 광복 76주년을 맞아 특별손님으로 방문해주셔서 기쁘다"는 인사를 건넸다.

그러면서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는 한국 국민들에게 아주 중요한 항일독립운동 역사"라며 "한국 국민들은 2019년 계봉우, 황운정 지사에 이어 (홍범도) 장군의 유해 봉환에 협조해주신 대통령님과 카자흐스탄에 매우 감사드리며 오래도록 기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카자흐스탄은 독립 이후 적극적인 대외 개방과 협력을 통해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WTO 각료회의 의장국, CICA 창설 주도국이자 의장국으로 다자협력에서도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대통령님의 탁월한 지도력을 중심으로 2050년까지 목표 대로 세계 30대 선진국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또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 내 한국의 최대 교역국이자 투자 대상국"이라며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신북방정책의 중요 파트너로서 양국 관계는 앞으로 더욱 발전해 나갈 많은 잠재력을 갖고 있다. 이번 대통령님의 국빈 방한이 양국의 우정을 더욱 깊게 하고, 함께 번영의 길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토카예프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카자흐스탄의 아시아에서 제일 중요한 파트너 중 하나다. 지금 카자흐스탄 경제에 대한민국의 자금이 60억 불 이상이 투자가 됐다"며 "투자 유치 사업을 계속해서 진행해야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양국 관계를 발전하는 데 있어서 특별히 대한민국의 첨단기술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고, 첨단기술의 도입을 희망한다"면서 "그 중에서도 특별한 관심을 보건 분야 그리고 코로나 대책 조치에 많은 관심을 우리가 갖고 있다"고 했다.

한편 이날 정상회담에는 카자흐스탄 측에선 무흐타르 틀례우베르디 부총리 겸 외교부장관, 로만 스클랴르 경제부총리, 누를란 노가예프 에너지부 장관, 무랏 누르틀레우 대통령실 국제관계 부실장, 티무르 술레이메노프 경제관계 부실장, 바킷 듀센바예프 주한카자흐스탄 대사 등이 참석했다.

우리 측에서는 정의용 외교부 장관,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서훈 국가안보실장, 이호승 정책실장, 구홍석 주카자흐스탄대사, 김형진 안보실 2차장 등이 참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