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델타 변이 확산에도 GDP 4% 성장 강조... 증권가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 유효”

입력 2021-07-28 15: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델타 변이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도 국내총생산(GDP) 4% 성장을 강조했다. 증권가에선 이에 대해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는 신호로 해석했다.

지난 27일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2분기 국내 경제가 정부와 주요 전망기관들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의 회복세를 나타냈다”며 “올해 4% 이상 성장경로를 이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는 지난 5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GDP 성장률 전망치를 유지한 것으로 의류, 오락문화, 음식숙박 등 민간 소비 증가세를 기대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날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2분기 GDP는 475조7625억 원으로 전기 대비 0.7% 증가했다.

그러나 3분기가 시작된 7월부터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됐기 때문에 GDP 4% 성장 가능성을 무조건 낙관하긴 이르다.

증권가에선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격상에 따른 내수소비 위축으로 하방 리스크가 우려된다면서도 재난지원금을 통한 소비 회복과 수출 호조를 통한 성장 견인이 기대된다는 의견이 있다.

김연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거리두기 강화 우려에도 소득 하위 88%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되는 재난지원금은 소비 회복 요인”이라며 “승용차, 반도체 등 생산에 차질이 있던 수출물량도 6 월부터는 개선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GDP 4% 달성과 함께 연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하는 목소리도 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코로나 확산세가 진정될 경우 내수의 성장 기여도 회복과 함께 경제성장률의 개선을 뒷받침해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연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분석했다.

오재영 KB증권 연구원 역시 “4% 이상의 성장과 연내 1차례의 기준금리 인상이 전망된다”고 말했다.

안영진 SK증권 연구원은 “GDP 성장률을 3.9%로 유지한다”면서 “7월 금통위에서도 금융 불균형 완화를 우선 과제로 해 기준금리 인상 입장을 재확인했는데 긴급한 4차 대유행만이 변수가 될 뿐 경기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서 장단기 채권 금리 차의 축소는 한국 경제와 채권시장이 적응해야 할 환경으로 해석된다. 최근 100bp에 달했던 3년물~10년물간 스프레드 격차는 50bp 이하로 내려왔다.

안 연구원은 “단기 구간의 금리는 높아진 상태를 유지하려 할 것이고 장기 구간의 금리는 향후 성장 모멘텀의 약화를 반영해 하락 압력이 가중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