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부 기자
반대쪽에선 여가부 존치의 당위성을 주장한다. '여가부 존치 및 권한 강화의 청원'이라는 제목의 국민청원에서 청원인은 "여가부는 사회의 취약 계층인 여성과 청소년, 아동을 특별히 보호하고자 하는 헌법 정신과 국가의 존재 이유를 합당하는 절대 없어서는 안 될 중앙 부처"라고 했다. 여가부가 남성 혐오를 조장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양성평등 정책에 배정되는 예산은 10% 미만이며 수혜 대상도 여성만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여가부를 둘러싼 존폐 갈등은 그 본질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4개 여론조사 업체가 12~1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여가부 폐지에 동의한다는 응답자는 남성이 61%였고,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여성이 51%였다. 특히 2030 세대에서 여가부 폐지에 '동의한다'고 응답한 이들이 59%로 가장 많았다.
여가부 폐지론의 중심인 것처럼 보이는 '이대남'(1990년대생 남성)은 불평등의 세습과 계층 간 격차를 온몸으로 경험한 세대다. 부동산, 취업 등에서 좌절을 경험한 청년들은 '이생망'(이번 생은 망했다)을 외치고 있다.
그렇다고 무작정 '2030세대 남성들은 여성을 싫어한다'고 규정해선 안 된다. '이생망'을 외치는 건 '이대녀'(1990년대생 여성)도 마찬가지다. 사회 불평등과 '먹고사니즘'에 대한 고민은 남녀 모두에 해당한다.
여가부 폐지론에 왜 이대남이 거론되는 걸까. 이들이 처한 어려운 현실에 대한 분노를 이용하려는 정략적인 발상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아프니까 청춘이다'라는 말도 지긋지긋해진 이들에게 여성은 약자이기에 돌봐야 한다는 말이 통할 리 만무하다. 기득권 세대와 공정한 경쟁조차 할 수 없는 환경에 놓인 이들에게 양보하라는 말은 오히려 폭력적이다. 양보가 아니라 공생을 위해 서로의 처지를 이해해야 한다고 말해야 한다. 실제로 여가부 예산의 60%는 여성이 아닌 가족을 위해 쓰인다.
국민 대다수가 여성과 남성을 나누지 않고 '우리'라고 한다. 그리고 서로를 응원한다. 정치권은 '여가부 폐지론'을 앞세워 젊은 세대의 아픔을 표심으로 이용해선 안 된다. 이들의 분노가 여성을 향하도록 부추기는 일도 없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