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글로벌 조선 수주, 7년 만에 최고…6월 수주, 한국 독주 지속

입력 2021-07-06 09: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상반기 누계 수주, 전년 대비 192%↑…한국ㆍ중국 각 44% 점유 ‘초박빙’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운반선. (사진제공=삼성중공업)

올해 상반기 수주량의 폭발적인 증가로 상반기 조선업계 글로벌 수주량이 2014년 이후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은 6월에도 수주 1위를 차지하며 독주를 이어가고 있다.

6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6월 전 세계 선박 수주는 415만CGT(131척)로 나타났다.

한국은 182만CGT(40척ㆍ44%)를 수주해 지난달에 이어 1위를 지속하고 있다. 뒤이어 중국 157만CGT(63척ㆍ38%), 일본 30만CGT(14척ㆍ7%) 순으로 집계됐다.

상반기 누계 수주량은 2402만CGT로 전년 동기 824만CGT 대비 192% 증가했다.

특히, 한국은 전년 동기 135만CGT 대비 약 7배 증가한 1047만CGT(260척ㆍ44%)를 수주해 글로벌 선박 발주가 한국 조선소로 쏠리고 있음을 나타냈다.

1059만CGT(389척, 44%)를 수주한 중국과의 격차는 12만CGT로 좁혔다. 12만CGT는 1만5000TEU급 컨테이너선 2척 정도에 해당하는 규모로, 하반기에는 추월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은 상반기 발주된 LNG운반선(14만㎥ 이상) 16척 전량, 유조선 51척 중 42척(82%), LPG운반선 72척 중 52척(72%), 컨테이너선(1만2000TEU급 이상) 148척 중 81척(55%)을 수주했다.

6월 말 전 세계 수주잔량은 5월 말 대비 173만CGT(2%) 증가한 8091만CGT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중국 3041만CGT(38%)에 이어 한국 2673만CGT(33%), 일본 866만CGT(11%) 순이다.

전월 대비 한국(116만CGT, 5%↑), 중국(36만CGT, 1%↑)은 증가한 반면, 일본(△8만CGT, 1%↓)은 소폭 감소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보면 한국(677만CGTㆍ34%↑)이 중국(213만CGTㆍ8%↑), 일본(△229만CGTㆍ21%↓)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해 올해 수주 호조세가 반영됐다.

6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38.5포인트로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는 2017년 3월 최저점 121.4포인트 대비 4년간 14% 상승한 것이나 호황기 고점 191.5포인트와 비교해 70% 수준에 머물고 있어 회복 속도는 더디다는 평가다.

전월 대비 선종별 선가 추이는 △컨테이너선(1만3000~1만4000TEU) 1억 2250만 달러→1억 2800만 달러 △초대형 유조선(VLCC) 9500만 달러→9750만 달러 △S-max 유조선 6300만 달러→6500만 달러 △A-max 유조선 5050만 달러→5100만 달러 △LNG선(17만4000㎥) 1억8900만 달러→1억 9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모든 선종에 걸쳐 선가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