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하경방] 2차 추경으로 일자리 15만 개 이상 만든다

입력 2021-06-28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피해업종 일자리 유지·복원 총력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용인미르스타디움 광장에서 열린 '2021 상반기 용인시 일자리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취업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하반기 2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을 목표로 15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든다. 코로나19 피해가 컸던 부문에서는 일자리를 유지하기 위한 대책을 추진한다.

기획재정부는 28일 발표한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서 민생경제 회복의 방안으로 4대 분야에서 일자리 15만 개 이상을 창출한다고 밝혔다. 4대 분야는 ‘일자리 조기회복’, ‘청년 고용촉진’, ‘백신방역 안전대응’, ‘취약계층 고용보안’이다.

먼저 실업자 채용을 지원하는 특별고용촉진장려금을 확대해 2~3만 명의 취업자를 만든다. 인공지능과 SW 등 신산업 분야, 지역 기반 기업의 채용을 지원해 청년 일자리 2~3만 개를 만들고, 백신 접종과 관련한 보조 인력, 방역 지원 인력 등 백신 대응 일자리는 6~7만 개를 창출한다. 노인과 저소득층, 예술인 등 취약계층 일자리도 3~4만 개가 만들어지도록 추진한다.

코로나19 피해가 집중됐던 조선업과 여행업, 관광숙박업, 관광운송업, 공연업, 면세점 등 특별고용지원업종 15개에 대해서는 일자리가 유지되도록 고용유지지원금 지급기간을 180일에서 270일로 연장한다.

이번 추경을 통해 공연예술가, 실내체육시설, 트레이너 채용을 확대하는 등 여행, 공연, 체육업계 일자리 확보에 나선다. 구직자들에 대해서는 연 1%대의 초저금리 생계비 융자 지원도 확대한다.

공공기관 일자리도 추가로 만든다. 한국판 뉴딜과 코로나19 대응 등 필수 분야 인력을 중심으로 공공기관 1만4000명, 지방공기업 2000명 등 신규 채용을 추진하고, 체험형 인턴제도와 연계해 공공기관 정규직 채용인원의 5% 이상을 인턴 출신으로 채용하도록 권고한다.

7월부터 사회서비스 등 공공부문 일자리는 2만5000개를 비롯해 경찰과 소방, 사회복지 분야 현장민생공무원은 8000명을 충원할 계획이다.

사회서비스 일자리가 국민에게 필요한 사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시민들이 일자리를 사업 발굴·운영에 참가하는 ‘시민제안’ 방식도 도입된다. 정부는 하반기 중 세부 운영계획을 마련하고 내년부터 노인일자리 등 일부 사업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할 방침이다.

이 외에도 내년부터는 국민취업지원제도를 성실히 이수한 구직자가 직접일자리 선발에서 가점을 받을 방안도 마련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