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기대감에 들썩이는 서울 노후 아파트값

입력 2021-06-09 09:53수정 2021-06-09 09: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매매값 상승률, 신축의 2배

▲올해 서울의 노후 아파트값이 신축 아파트보다 2배 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여의도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올해 서울의 노후 아파트값이 신축 아파트보다 2배 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조사 통계에 따르면 서울에서 준공 20년 초과 아파트 매매값은 올해 들어 지난주까지 누적 기준 2.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준공 5년 이하인 신축이 1.2% 오른 것과 비교하면 정확히 2배 높다.

서울 5개 권역별로 보면 20년 초과 아파트값은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이 3.08%로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동북권 2.35%, 서남권 2.07%, 서북권 1.63%, 도심권 1.21% 등의 순이었다.

동남권에선 압구정·대치·서초·잠실동 등의 주요 재건축 단지가 전체 아파트값 상승을 견인했다. 보통 신축 아파트값이 더 빨리 오르고 노후 아파트값은 더디게 오를 것으로 여겨지지만, 노후 아파트는 재건축을 거쳐 곧 새 아파트로 거듭날 수 있어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으면 가격이 껑충 뛰는 특성이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지난해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많이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덜 올랐던 구축 아파트값이 뒤따라 오르며 가격이 키 맞추기한 측면이 있다”며 “압구정 등 재건축 단지의 사업 추진이 속도를 내면서 분위기를 주도한 것도 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압구정 현대아파트 등 재건축 단지들은 정부가 지난해 6·17 대책에서 투기과열지구 내 재건축 아파트를 조합설립 인가 이후에 구매하면 입주권을 주지 않기로 하자 이 규제를 피하려 서둘러 조합설립 인가를 받는 등 사업을 서둘러 추진했다.

4·7 보궐선거 과정에서 주요 후보들이 부동산 규제 완화를 공약한 것도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을 부추겼다. 재건축 아파트값 과열 양상에 서울시가 압구정·여의도·목동 등 4개 지역을 1년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었지만, 재건축 규제 완화 기대감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은 해당 지역 전체의 집값 상승도 견인했다.

올해 들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까지 주간 누적 기준 1.79% 올랐다. 구별로는 송파구가 2.89%로 가장 많이 올랐고, 노원구(2.82%), 서초구(2.58%), 강남구(2.40%), 마포구(2.14%), 양천구(2.08%) 등이 상승률 6위 안에 들었다. 이들 지역은 모두 주요 재건축 단지를 품고 있다.

서울의 대표 재건축 단지로 꼽히는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는 올해로 준공 44년째를 맞았다. 이 아파트 전용면적 82.51㎡형은 지난달 13일 28억1100만 원에 신고가로 거래되며 1월 23억 원보다 5억 원 넘게 올랐다.

강남구 압구정동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이후 아파트 매매가 뚝 끊겼다. 규제 직전인 4월 26일 한양1차 전용 91.21㎡령이 31억 원에 매매됐는데, 작년 12월 25억 원과 비교하면 6억 원이 올랐다.

압구정동 A공인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후 새로 신고된 매매가 한 건도 없을 정도로 거래 절벽 상황이 심해지고 있지만, 높아진 매매 호가는 계속 유지되고 있다”면서 “이곳 주민들은 오 시장 임기 내 재건축 규제가 어느 정도 풀릴 것이라는 기대하고 있고 내년엔 대선과 지방선거도 있어 상승 분위기가 쉽게 꺼지지 않으리라고 보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노원구에서도 지은 지 33년 된 상계동 주공 12차 66.56㎡형이 올해 1월 6억7800만 원에서 지난달 19일 8억4000만 원까지 오르며 최근까지 최고가 경신을 이어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