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자보 가입자 3.5% 차지...음주운전 46.8%로 가장 많아
보험개발원은 최근 1년(07.9∼08.8)간 개인용 자동차보험 가입자를 분석한 결과,과거 중대법규 위반 경력이 있는 가입자의 대인사고 발생지수가 평균 14.6%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중대법규 위반자는 전체 가입자 구성비 3.5% 며 음주운전이 절반에 가까운 46.8%로 가장 많았고, 신호위반 32.8%, 중앙선침범 8.0%, 속도위반 3.8%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대인사고 발생율은 법규 준수자보다 중앙선 침범 경력자가 36.9% 높았고,신호 위반자 21.7%, 횡단보도 위반자는 20.3% 높게 나타났다.
중대법규 위반 경력자 성별 비율은 남성이 4.1%로 여성의 1.8%보다 2배 이상 높았으나, 대인사고 발생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약 20% 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별로는 20대가 69.8%로 가장 높았으며, 법규 준수자도 평균 사고발생율 보다 60.8%나 높은 것으로 나타나 타 연령대 법규 위반자보다도 사고 발생율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세부차종별은 RV형(레저형, 다목적형) 차량 가입자의 대인사고 발생율이 법규 준수자 평균보다 19.3% 높았고, 중형 17.1%, 봉고형 15.4%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RV형 차량은 법규 준수자의 사고발생율도 법규 준수자 평균보다 다소 높은 것(3.9%)으로 분석됐다.
보험개발원은 교통법규 위반이 교통사고 발생확률 자체를 높여 타인과 자신에게 심대한 경제적·정신적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평상시 교통법규준수를 생활화해 사고피해를 예방하고 성숙된 교통문화를 정착시켜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