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히카리' 대신 '알찬미·참드림·해들'…벼 외래품종 재배↓

입력 2021-05-20 11: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농진청, 올해 외래품종 재배면적 4.7만㏊까지 감축…2024년까지 1만㏊ 아래로

▲경기 이천시 마장면 이평리 들녘에서 수확중인 임금님표 이천쌀 '해들'. (뉴시스)

추청(아키바레), 고시히카리 등 외래 벼 품종 재배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외래 벼 품종을 심었던 지역에서는 알찬미‧참드림‧해들 등 국내 품종이 자리잡고 있다. 정부는 외래품종 대체사업에 속도를 내 2024년에는 1만㏊까지 줄일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올해 벼 외래품종 재배면적을 지난해보다 1만㏊ 줄어든 4만7000㏊까지 감축시켜나갈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현재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 외래품종은 추청‧고시히카리‧히토메보레‧밀키퀸 등 대부분 일본 품종이다. 이들 외래품종의 재배면적은 2018년 7만5706㏊, 2019년 6만5967㏊에 이어 지난해에는 국내 벼 재배면적 72만6432㏊의 7.9% 수준인 5만7246㏊까지 줄었다.

지난해 기준 외래품종별 재배면적을 보면 추청이 4만4757㏊로 가장 많고 고시히카리 9766㏊, 히토메보레 2385㏊, 밀키퀸 214㏊, 기타 126㏊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충북이 전체 외래품종 재배면적 5만7246㏊의 77.8%인 4만4538㏊를 차지하고 있다.

농진청은 국내 벼 재배면적 가운데 외래품종이 차지하는 면적을 매년 1만㏊씩 감축해 2024년에는 1만㏊까지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올해 외래품종 재배면적을 지난해(3만6379㏊)보다 12.5%(4552㏊) 줄어든 3만1827㏊까지 축소하고, 충북도는 지난해(8159㏊)보다 14.2%(2185㏊) 줄어든 7000까지 감축시킬 예정이다.

외래품종을 재배한 지역에서는 농진청과 민간이 육성한 국산 벼 품종이 보급돼 재배되고 있다.

추청은 국산품종 알찬미‧진수미‧참드림‧삼광벼 등으로 대체 중이고, 고시히카리와 히토메보레는 해들‧청품‧해담쌀‧맛드림 등으로 바꿔나가고 있다.

이들 국산품종은 병해충에 약하고 잘 쓰러져 재배하기 어려운 외래품종과 달리 병해충 저항성이 우수하고 잘 쓰러지지 않아 재배하기 쉽고 수량도 많다.

정병우 농진청 식량산업기술팀장은 "벼 외래품종 대체와 최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 앞으로 지역 맞춤형 벼 품종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며 "개발된 품종들이 원활히 농가에 보급될 수 있도록 종자 공급 시스템을 구축하고, 최고품질의 쌀 생산‧유통을 위한 거점단지 조성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