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1/05/600/20210503100010_1615460_1200_675.jpg)
낮 12시 50분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 사내 카페. 분주한 카페 한편에선 한 청년이 한 숟가락씩 레몬청을 용기에 담는 데 푹 빠져 있었다. 전자저울 눈금이 ‘80g’을 가리키자 그는 엷은 미소를 지어 보였다. 그의 손길은 차분하면서도 민첩했다. 주변에는 레몬청을 나눠 담은 컵들이 나란히 놓여있었다.
그 순간 카페 매니저가 청년 뒤로 다가왔다. “재현(가명)님, 하다가 어려운 것 있었나요?” 계속 들어오는 주문에도 매니저는 눈을 맞추고 천천히 청년에게 말을 걸었다. “아니요. 없었어요.” “좋아요, 계속 지금처럼 해주세요.”
![](https://img.etoday.co.kr/pto_db/2021/05/600/20210503100058_1615465_1200_675.jpg)
이곳에서 재현 씨는 ‘곰 청년’이라고 불린다. 재현 씨의 앞치마에는 ‘빨간 곰’ 배지가 달려있다. 무뚝뚝하고 남에게 자신을 잘 표현하지 못하지만 맡긴 일은 우직하게 잘 잘하는 이들, 그래서 ‘곰 청년’이다. 세상에선 이들을 ‘발달장애인(자폐성 및 지적장애인)’이라고 부른다.
이들이 소속된 ‘베어베터(BEAR. BETTER.)’ 사명 역시 ‘곰 청년’이 세상을 이롭게 만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베어베터는 인쇄, 제과, 사내 카페ㆍ매점, 꽃 배달 등 발달장애인이 일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운영한다.
올 3월 KTB투자증권에서 NH투자증권까지, 최근 여의도에서 본사를 이전한 증권사들이 ‘베어베터’를 통해 사내 카페를 조성했다. 봉사나 기부 차원을 넘어 장애인과 상생할 수 있는 사업장을 고민한 결과다. 이곳에선 ‘곰 청년’들이 정성스레 내린 커피 한잔을 마실 수 있다.
이를 위해 재현 씨는 여의도 증권맨보다 30분 이른 아침을 맞이한다. 7시 30분까지 출근해 유니폼으로 갈아입는다. 안전교육을 받고 출근부를 작성한 뒤 머리에서부터 손톱까지 위생 점검을 한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1/06/600/20210602140410_1627863_1199_874.jpg)
이곳 매니저들은 매일 아침 1:1 상담을 하면서 오늘 일할 수 있는 기분인지 세심히 들여다본다. 마음 상태는 '괜찮아요'의 1단계에서부터 '힘들어서 도움이 필요해요'라는 5단계까지. 3단계부터는 매니저와 면담을 한 뒤 근로 여부를 결정한다. 이날 재현 씨의 마음은 1단계다. 매니저가 ‘마음’ 안부까지 확인한 뒤에서야 재현 씨는 커피를 내릴 수 있었다.
생두에서 시작된 향기는 몇 명의 곰 청년 손길을 거쳐 커피 한 잔에 담긴다. 베어베터는 발달장애인 직원들이 일할 수 있도록 직무를 세세히 쪼개 세분화했다. 커피 추출, 포스기 담당, 얼음 담기, 커피 픽업 담당 등. 혼란스럽지 않게, 각자 위치에서 열심히 일하기만 하면 됐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1/05/600/20210503101607_1615496_1199_749.jpg)
열심히 얼음 컵을 준비하던 한 곰 청년이 손을 놓고 꽤 오랜 시간 가만히 있자 매니저가 다가가 말을 건넸다. 관리자는 발달장애인이 업무 현장에서 오랫동안 일할 수 있도록 직무를 쉽게 만들고, 현장에서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지 수시로 확인했다. 이들은 학생에게 하듯 개입하지도 않았다.
업무도 간단하게 조정했다. 시럽마다 몇 번 펌프질해야 하는지 등 작업 문구가 붙어 있었다. 난도가 높은 캐러멜 마키아토는 시럽을 미리 녹여서 계량화해뒀다. 픽업 대에 있던 곰 청년이 ‘빨대는 이쪽에 있습니다’라는 말을 빠뜨리자 매니저가 다가가 짚어줬다. 그 청년은 ‘이쪽’이라는 말과 함께 팔 방향을 가리키면서 반복 연습했다. 누구보다 잘하고 싶어 하는 마음이 보였다.
배송팀에 있던 태호 씨(가명)는 최근 NH투자증권 카페팀에 합류했다. 그는 아이스 아메리카노가 가장 재밌다고 했다. 그는 “얼음 넣고, 샷 넣으면 끝이다. 다른 음료보다 쉬워서 좋다. 또 여기(파크원 타워2)는 건물이 높아서 좋다”고 말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1/05/600/20210503102227_1615505_1199_749.jpg)
사업장의 배려도 곳곳에 묻어있었다. NH투자증권과 KTB투자증권 모두 초반 일주일 동안 손님을 받지 않았다. ‘곰 청년’들이 각자 맡은 임무와 동선을 익힐 수 있도록 여건을 보장해주기 위해서다. 또한, 이들이 유니폼으로 갈아입고 휴식할 수 있도록 ‘휴게 공간’을 따로 마련해뒀다. 이 밖에도 수시로 애로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 소통 채널 지원에도 힘쓰고 있었다.
KTB사내카페를 이용한 한 직원은 “사실 발달장애인 직원분들인지도 몰랐다. 일회성에 그치는 기부금보다 이런 사내 카페들이 늘어난다면 더 좋을 것 같다. 그러면 더 지속 가능하지 않겠냐”고 말했다. NH투자증권의 직원도 “비장애인 매니저들도 같이 일하면서 호흡도 좋은 것 같다. 무엇보다도 커피가 맛있다”며 마스크 너머 눈을 웃어 보였다.
이진희 베어베터 대표는 “우리는 서로가 각자 잘할 수 있는 것을 고민한다. 증권사는 ‘증권팀’, 우리는 ‘카페 팀’으로 함께 공존하는 것이다. 각자 잘하는 일터를 만드는 것 역시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일”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