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광주형 일자리’ 결실, 상생모델 살려 나가려면

입력 2021-04-30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첫 노사정(勞使政) 지역상생 모델인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결실을 맺었다. 광주 빛그린산업단지에 건설해 온 광주글로벌모터스(GGM) 공장이 29일 준공됐다. 2019년 12월말 착공한 지 1년 4개월 만이다. 국내에 완성차 공장이 설립된 것은 1998년 삼성자동차 부산공장 이후 23년 만이다.

GGM은 광주시와 현대자동차가 1·2대 주주로 3년간 5754억 원을 투자해 연간 10만 대의 차량을 생산하는 시설을 갖추고 직접 일자리 908개(간접 일자리 1만1000개)를 만들어 낸다. 기존 완성차 업계의 절반 수준 연봉으로 위탁생산 민관 합작공장을 세워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이다. 현대차는 일감을 우선 배정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주거·의료·복지를 지원한다. 2019년 1월 광주시와 현대차, 한국노총 3자가 협약을 체결해 사업을 진행해 왔다. 현대차는 고비용·저효율 생산구조 개선 효과를 거두고, 광주시는 절박한 고용위기 해소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것이다.

기존에 합의된 근로자 초임 연봉은 평균 3500만 원, 노동시간은 하루 8시간·주 40시간이다. 사업 진행과정에서 한국노총이 현대차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연봉 인상과, 임단협 5년 유예 조건을 깬 매년 임금협상, 노동이사제 도입 등을 요구하면서 협약 파기를 선언하는 등 사업 무산 위기를 겪었다.

GGM 공장은 9월 1000㏄급 경형 스포츠유틸리티(SUV) 차량을 출시할 예정이다. 올해 1만 대 정도를 생산하고, 내년부터 정상가동과 함께 연간 7만 대 이상 최대 10만 대까지 만들 수 있을 전망이다. 스마트공장 운영 및 공정 최적화로 원가경쟁력을 확보하면서, 유연생산 시스템을 통해 앞으로 전기차나 수소차 등 시장 수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어렵게 결실을 본 공장인 만큼, 사업 취지에 맞고 상생 일자리의 본보기가 될 수 있는 운영이 이뤄져야 한다. 광주형 일자리 말고도, 현재 전국 여러 곳에서 비슷한 사업들이 진행되고 있다. 부산과 대구, 경남 밀양, 경북 구미, 전남 신안, 전북 군산, 강원 횡성 등의 상생형 지역일자리 사업이 그것이다. 차질없이 추진되면 직접 고용만 1만2000명, 총투자 51조1000억 원의 효과가 기대된다.

순조롭지만은 않을 것이다. 지역 고용을 확대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공장들이 적정 임금으로 생산성을 높여 사업을 빨리 안정시키지 못하면 고용을 유지할 수 없고 실패할 우려도 크다. 시장 여건은 악화하는데 온갖 규제의 올가미와 노조 리스크로 국내에 공장을 세울 유인(誘因)이 전혀 없으니 자꾸 해외로 나갈 길만 찾고 있는 게 기업들의 현실이다. 정부의 세제 등 다각적인 지원도 필요하지만, 지역 일자리 사업이 성공하고 지속가능하려면 노동계가 이런 상생모델을 살려나가는 데 적극 협력해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