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중ㆍ박완주, 협치에 미묘한 입장 차… 우선순위도 엇갈려

입력 2021-04-15 14: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한 윤호중 의원(오른쪽)과 박완주 의원이 15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합동토론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한 윤호중, 박완주 의원은 ‘상임위 재배분’ 등 여야 협치 이슈를 놓고 시각차를 보였다.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원내대표 후보자 마지막 토론회가 열린 가운데, 민주당 원내대표 후보인 윤호중·박완주 의원 모두 재협상은 없다고 하면서도 미묘한 입장 차를 냈다.

윤 의원은 야당이 법제사법위원장을 포함한 상임위원장 배분 재협상을 요구한 것과 관련해 상임위원장 몇 자리를 야당에 양보한다고 우리가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이어 “우리가 머리 숙이고 반성한다고 해도 그것만으로 국민이 평가하지 않는다. 할 일은 하는 국회에서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피력했다.

반면 박 의원은 “법사위원장을 고집하는 야당과의 협상은 일고의 가치가 없다”면서도 “법사위원장을 제외한 상임위에 대해서는 협의 처리하는 게 긍정성이 있다”고 여지를 열어뒀다.

최근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은 이번 4·7 재보궐선거 이후 “야당 몫 상임위원장을 (국민의힘에) 돌려주고 협치에 나서지 않는다면, 민주당의 반성은 단지 쇼일 뿐”이라며 “민주당이 정말 오만과 독선을 반성하고 국민을 위할 생각이 있다면 즉각 의회정치 복원과 협치에 나서야 한다”고 한 바 있다.

아울러, 윤 의원과 박 의원은 개혁과 협치의 우선순위에 대해서 입장 차를 냈다.

윤 의원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면 개혁”이라며 “협치는 우리가 선택할 대안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종의 협치 계약이 있지 않은 한 협치는 불가능하다”며 “적당히 상임위를 나눠 가진 뒤 발목 잡기 하는 것은 협치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협치는 개혁을 이뤄내려는 방법”이라며 협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21대 국회처럼) 한 정당이 상임위원장을 모두 차지한 경우는 역대로 1~2번에 불과하다”며 “국민의 목소리는 완전히 100%가 될 수 없고, 국회는 그런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는 기관”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