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진영, 100조 재정부터 증세까지…사실상 채택 어려워
심상정 '증세'ㆍ용혜인 '한국은행 국채 매입으로 100조 마련'
![](https://img.etoday.co.kr/pto_db/2021/02/600/20210201112549_1576600_1184_580.png)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영업손실 보상제가 더불어민주당의 제안으로 시작돼 여야와 정부가 공감하며 구체화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지난해의 경우 보상을 소급적용하지는 않고 4차 재난지원금으로 이를 대신하며 이후는 영업손실의 70%와 임대료 등 고정비를 지원하는 방식이 될 전망이다.
김종민 민주당 최고위원은 1일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자영업자 보상 법제화 이전이라도 손실보상에 준하는 재난지원금 지급이 이뤄져야지, 단순 위로금 성격은 안 된다”며 “고정비와 인건비, 매출, 순이익 등을 고려해 실제 손실에 대한 검토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진보진영 정당들은 이보다 더 판을 키우고 있다. 특히 재원조달책 관련해서다. 정의당의 심상정 의원과 기본소득당의 용혜인 의원이 나섰다.
심 의원은 이날 ‘코로나바이러스 등 감염병 재난에 따른 손실 보상 및 피해 지원 특별법’을 발의했다. 법안에는 인건비·임대료·공과금·통신비·이자 등 고정비와 구직급여 하한액 범위 내 생활비 지원을 우선 한 후 영업이익 70% 범위 내 보전하는 내용이 들어갔다.
이는 사전·사후 두 차례 지원하는 것으로, 임대료의 경우 정부뿐 아니라 임대인도 20~30% 부담토록 했다. 이외에 대한 재원은 무이자인 ‘특별재난국채’ 발행과 ‘특별재난연대기금’ 조성을 위한 ‘특별재난연대 목적세’를 추진한다. 즉, 증세하겠다는 의미로 일반 국채 발행과 기업 기부를 유도해 상생기금을 마련한다는 민주당보다 재원을 더 크게 잡겠다는 것이다.
용 의원도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분기별 재난기본소득 80조 원과 소상공인 손실보상에 20조 원 등 총 100조 원의 재정을 투입하자는 주장을 내놨다. 재원은 한국은행이 국채를 매입해 단숨에 마련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한은의 국채 매입은 정부가 100조 원 규모 재정을 단기에 마련하는 유일한 수단이고, 명목상 국가부채율을 증가시키지만 정부의 이자 부담이 거의 없어 바람직하다”며 “한은이 국채를 매입하는 경우 국채 이자를 포함한 한은의 수입은 운영경비 충당 뒤 다시 국고로 환수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무한정 이런 방식이 가능하진 않지만 100조 원 정도는 통화·재정 시스템을 교란시키지 않고도 얼마든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두 가지 안 모두 재정 악화와 그에 따른 증세를 불가피하게 만들기에 정부·여당이 채택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4월 재보궐 선거와 내년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증세는 가능한 피해야 할 선택지라는 것이 정치권의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