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보다 62만8000명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간 취업자 수도 21만8000명 줄며 외환위기(1998년) 이후 최악의 성적표를 보였다.
통계청은 13일 발표한 ‘2020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서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가 2652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62만8000명(2.3%) 감소했다고 밝혔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2월 이후 21년여 만에 최대 감소 폭이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59.1%로 1.7%포인트(P),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3%로 1.8%P 각각 내렸다. 고용률은 청년층(15~29세, 41.3%, 2.5%P↓)을 중심으로 모든 연령계층에서 하락했다.
이번 고용지표에는 11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비수도권 2단계) 격상(12월 8일) 영향과 전년 12월 취업자 급증(51만6000명)에 따른 기저효과가 함께 반영됐다.
관련 뉴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점업(-31만3000명), 도·소매업(-19만7000명), 제조업(-11만 명)에서,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근로자(-35만1000명) 감소가 두드러졌다. 실업률은 4.1%로 0.7%P 올랐다. 40대와 5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계층에서 1.0%P 이상 급등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도 21만8000명 감소로 마무리됐다. 외환위기가 한창이던 1998년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15~64세 고용률은 65.9%로 0.9%P 내렸으며, 실업률은 4.0%로 0.2%P 올랐다. 실업자는 110만8000명으로 4만5000명 늘며 통계기준이 개편된 2000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11월 기준 한국의 취업자 감소율은 0.7%로 독일(-0.9%), 호주(-1.6%), 캐나다(-5.4%), 미국(-6.2%)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선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다만 고용지표 악화가 취약계층에 집중된 점은 부담이다. 산업별로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합계 -31만9000명)에서,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근로자(-31만3000명)가 급감했다.
정부는 단기적인 고용 충격에 대응해 올해 직접일자리 공급분의 80%(83만 명)를 1분기 중 조기 집행할 계획이다. 고용 취약계층인 청년층과 여성에 대해선 별도의 일자리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