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2년까지 발전비용 16%↓· 탄소배출량 24% ↓"

정부가 원자력발전과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늘리는 대신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비중을 낮춰 발전비용과 탄소배출량을 줄이기로 했다.

지식경제부는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공사 대강당에서 가진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 공청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력소비량은 2015년까지 연평균 3.1% 증가하고 이후 2022년까지 연평균 1% 미만으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여름철 최대전력은 2022년까지 연평균 1.8% 증가해 2022년에는 8180만㎾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말 기준 6587만㎾ 수준인 발전설비를 2022년까지 1억891만㎾ 수준으로 확대해,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전원 구성은 발전량 비중을 원자력발전소는 현재보다 12.4%p 증가한 47.9% 수준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도 현재보다 3.6%p 늘어난 4.7%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반면 석탄발전소 비중은 현재보다 2.5%p 낮아진 35.9%로, LNG 발전소 비중은 13.3%p 줄어든 6.2%까지 줄여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중·단기 전력수급 불확실성에 대비 하계부하관리를 강화하고, 발전소 건설지연으로 인한 준공이행율을 감안해 발전설비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확대해 기후변화 대응형 전원믹스를 설정한 것이 이번 계획안의 가장 큰 특징"이라며 "이같은 계획이 완료될 경우 현 전원 구성을 유지할 경우에 비해 2022년 기준으로 발전 비용은 16%, 탄소배출량은 24%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해 지속가능 발전위원회와 전력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오는 이달 중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확정, 공고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