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펜스, 의회 난입 이후 첫 회동…'조기 퇴임·탄핵 없다'

입력 2021-01-12 15: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트럼프-펜스, 남은 임기 마치는 데 뜻 같이 해"
의회 난입 사태 수습으로 펜스 입지↑
하원, 예고대로 탄핵안 발의

▲마이크 펜스(왼쪽) 미국 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19년 1월 4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기자회견 전 대화를 나누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펜스 부통령은 11일(현지시간) 국회의사당 난입 사태 이후 처음으로 만나 조기 퇴임이나 탄핵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에 동의했다. 워싱턴D.C./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국회의사당 난입 사태 이후 처음으로 만났다. 이 자리에서 두 사람은 조기 퇴임이나 탄핵은 없을 것이라는 데에 뜻을 같이했다고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

익명의 관계자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펜스 부통령은 이날 백악관 오벌오피스(대통령 집무실)에서 만났다. 두 사람은 의회에 난입한 시위대가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자 전체나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정책인 ‘미국 우선주의’를 대표하지 않는다는 것에 동의했다. 또 조 바이든 당선인의 취임까지 남은 임기 동안 일을 계속하는 데 뜻을 같이했다.

익명의 고위 당국자는 “두 사람이 다음 주 일정을 논의했으며 지난 4년간 행정부의 업무와 성과를 돌아보며 좋은 대화를 나눴다”고 전했다.

펜스 부통령은 의회 난입 사태가 있었던 6일 공개적으로 시위대를 비판하며 바이든 당선인의 승리를 공식 인증해 트럼프 대통령과 거리를 뒀다는 평가를 받았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마이크 펜스는 우리나라와 우리의 헌법을 지키기 위해 이뤄졌어야 할 일을 수행할 만한 용기가 없다”며 공식 인증에 반발했다.

여기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당선인의 취임식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밝힌 반면, 펜스 부통령은 참석하겠다고 밝혀 두 사람이 사실상 결별했다는 추측이 난무했다. 일각에서는 펜스 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로 수정헌법 25조를 발동해 조기 사임에 앞장설 것이란 전망까지 제기됐다.

하지만 이번 회동으로 펜스 부통령은 수정헌법 25조를 시행하거나 탄핵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란 뜻을 분명히 밝혔다. 펜스 부통령은 이전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조기 사임은 실현 불가능하다고 강조해왔다.

펜스 부통령은 대선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 불복 주장에 거의 말을 얹지 않으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에 공개적으로 반발할 수는 없지만, 차기 대선을 고려해 몸을 사린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그러다 이번 의회 난입 사태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빚자 오히려 그의 정치적 입지는 탄탄해졌다. 펜스 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 대신 크리스토퍼 밀러 국방부 장관 대행과 논의해 주 방위군을 투입하는 등 사태 해결 과정에서 존재감을 확실하게 부각했다.

한편 민주당 하원은 이날 예고한 대로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안을 발의했다. 민주당 하원 의원 대부분이 탄핵안에 서명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에는 내란 선동 혐의가 명시됐다. 민주당 하원은 탄핵소추에 앞서 12일 수정헌법 25조 발동에 대한 전체 투표를 진행하고 탄핵 절차에 착수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