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판은 키웠지만…"환영한다" vs "단일화 불가, 착각은 자유"

입력 2020-12-20 16: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민의힘 "공감해", 내부 분열 안돼", "단일화 절대 안될 것" 다양한 목소리
정의당 "우리도 야당, 누가 단일후보로 만들어줬다는건지 안쓰러워"
민주당 "끊임없이 말바꾸고, 선거때마다 나오는 정치인"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선언을 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그동안 대선 출마를 고집해왔던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20일 돌연 ‘서울시장 출마’를 선언하자, 선거판이 커짐과 동시에 셈법도 복잡해졌다. 특히 안 대표가 이날 열린 기자회견에서 “야권후보 단일화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확고히 한 만큼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환영의 목소리, 지지층 이탈에 대한 우려감과 야권 강화 기대감 등 반응이 엇갈린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전체 야당이 이기는 선거를 하겠다는 얘기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허은아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영화 어벤저스 엔드게임에서 위기를 극복한 한마디의 명대사는 ‘Avengers Assemble’. 우리에게도 범야권의 연합, 연대,‘코리아 어셈블’이 필요하다. 연합하고, 연대하고, 집결해야 한다”며 “이런 상황에서 안 대표의 서울시장 출마는 하나의 경종이 됐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안 대표 출마로 국민의힘 지지층을 빼앗길 가능성도 있다”며 우려했다. 하지만 또 다른 한 의원은 “단일화가 이뤄질 경우 민주당도 긴장할 만한 후보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민의힘 내부 분열 가능성에 대한 우려감도 표출됐다.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은 “안철수 전 의원의 서울시장 출마가 야권 분열로 가서는 결코 안 된다”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이 합당을 한 후 공정한 경선을 해서 후보를 결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만약 합당이 안 되면 국민의힘 내부 경선에서 선출된 서울시장 후보와 안철수 전 의원 간 경선을 통해 야권후보 단일화를 이뤄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일화 자체를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지역 의원은 “절대 후보 단일화는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그동안 안 대표와의 연대에 대해 선을 그어온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안 대표는 이날 “김종인 위원장뿐 아니라 정권교체에 동의하는 분이라면 누구든 만나 연대와 협력을 하겠다”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현재 국민의힘에서 출마 선언을 한 후보군은 이혜훈 전 의원, 김선동 전 의원, 조은희 서초구청장, 박춘희 전 송파구청장, 이종구 전 의원 등이다. 나경원 전 의원과 오세훈 전 서울시장, 서울 송파병 당협위원장인 김근식 교수도 추후 출마할 가능성이 아예 없진 않다.

결국 경선 방식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의 합당 또는 함께 경선을 치르는 ‘통합 경선’ 방식, 또는 각자 후보를 선출한 뒤 ‘후보 단일화 경선’ 등이 안으로 거론된다.

정의당은 야권 후보 단일화 언급에 대해 직접적으로 불쾌함을 내비쳤다. 정호진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안 대표가 야당 단일 후보를 하든 말든 정의당과 무관하지만, 정의당도 야당”이라며 “그럼에도 안 대표가 무작정 야권 단일후보를 참칭하고 나섰다”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도 안 대표 출마에 대해 냉소적인 반응이다. 더불어민주당의 ‘K-서울 선거기획단장’을 맡은 김민석 의원은 “끊임없이 말을 바꾸고 선거마다 출마하는 정치인으로 변모한 안 대표가 서울시장 선거에 나섰다”며 “과정과 결과가 어떠하든 다음에도 또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유기홍 민주당 의원도 “새정치민주연합 시절 공동대표로 함께 일했던 인연이 있으니 마지막으로 충고한다”며 “헛꿈 꾸지 마시라”고 꼬집었다.

안 대표는 2011년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에게 후보직을 양보, 이후 2017년 대선과 2018년 지방선거에 출마했으나 잇따라 낙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