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연말을 앞두고 명예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이는 은행업 전반이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각 지점 통폐합에 따른 구조조정이 필요해서다.
증권업계 역시 디지털화에 따른 지점 통폐합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증권업계에서는 ‘명퇴’라는 단어가 낯설다. 꾸준히 비정규직 비율을 높이면서 고용을 유연화한 영향이다. 증권업계의 ‘비정규직’ 비율은 매년 높아지는 추세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0/12/600/20201217154244_1556431_415_127.jpg)
특히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비대면 서비스’ 부문이 크게 성장했다. 10년 전 고객들은 주식 거래를 위해 지점 프라이빗뱅커(PB)와 전화를 하거나, 방문을 통해 주식을 매매했다면 요즘 고객들은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등을 이용해 주식을 거래하는 게 대부분이다. 증권사가 오프라인 지점보다 온라인 서비스 강화에 주력해오고 있는 이유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증권업계는 은행과는 달리 ‘명예퇴직’에 관한 이야기가 없다. 증권업계의 비정규직 비율이 은행과 비교해서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또 증권사 직원들은 개인 자문사를 차리거나 운용사로 자리를 옮기는 등 이직도 많은 편이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0/12/600/20201217154244_1556430_408_122.jpg)
![](https://img.etoday.co.kr/pto_db/2020/12/600/20201217154243_1556429_558_290.jpg)
증권업계는 최근 5년간 꾸준히 정규직을 줄이고 비정규직 수를 늘려왔다. 지난 2014년 말 6776명에 불과했던 비정규직 수는 올 3분기 기준 9374명으로 38.3% 늘었고, 해당 기간 정규직 수는 2만8401명에서 2만6437명으로 6.9% 줄었다.
다만 증권업계는 단순히 계약직 직원이 많은 것이 ‘고용의 질이 낮아졌다’던가 ‘구조조정을 위한 작업’이라는 시각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오히려 계약직을 선호하는 추세라고 설명한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최근 증권사에 투자은행(IB)업무 비중이 늘어나면서 계약직의 비중도 늘어나는 추세로 보인다”면서 “IB는 정규직보다는 계약직으로 계약하는 게 인센티브 측면에서 훨씬 이점이 있어 이 방식을 선호하는 직원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증권사 직원들은 향후 본인만의 자문사를 차리거나, 운용업계로 이직하는 경우가 많아서 퇴사율도 높다”면서 “때문에 신입 직원은 꾸준히 많은 수를 뽑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