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하천 관리 디지털화 추진…예산 2100억 투입

입력 2020-12-15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배수시설 자동·원격 제어시스템ㆍ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

▲국가하천 실시간 모니터링 개념도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내년도 국가하천 분야 사업예산 2100억 원을 확보해 수재해를 줄이고 하천관리를 효율화하는 뉴딜사업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국가하천 분야 사업예산은 △배수시설 자동·원격 제어시스템 구축 1800억 원과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 300억 원이 확정됐다.

국토부는 그동안 인력에 의존해온 하천 관리 방식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해 배수시설로 인한 침수피해를 방지할 계획이다. 또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홍수에 신속하게 대응하면서 재해를 예방할 방침이다.

국가하천 배수시설 자동·원격 제어시스템은 국가하천 배수시설(수문·통문)을 하천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한다. 지방자치단체 상황실에서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앞서 국토부는 올해(1차년도)에 900억 원을 투입해 148개 지자체의 국가하천 배수시설 실시설계와 공사에 착수한 바 있다.

내년(2차년도)은 18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연말까지 전체 구축대상(3580개소) 중 약 57%(2024개소)의 자동·원격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2022년(3차년도)에는 전체 사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국가하천에는 하천관리용 폐쇄회로(CC)TV를 설치하고 지방국토관리청 상황실에서 현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전국 73개 국가하천 3600km 양쪽 제방에 약 2km 간격으로 하천관리용 CCTV를 설치하게 된다.

내년(1차년도) 300억 원을 투입해 설계와 공사에 착수해 도심지구간, 관리 취약지구 등 하천 관리 소요가 큰 구간부터 우선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김보현 국토부 하천계획과장은 “적정 사업예산이 확보됨에 따라 하천분야 한국판 뉴딜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며 “국가하천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