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中企, 매출 감소 원인은 미국發 금융위기

입력 2008-11-27 13: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상당수 우리 수출 중소기업들의 올 매출 감소와 불투명한 내년도 매출 전망의 원인으로 미국발 금융위기가 꼽혔다.

2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내놓은 ‘수출중소기업의 글로벌시장 개척현황과 개선과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84.3%가 9월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매출 감소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수출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 수출이 증가한 업체는 전체의 15.7%에 불과했다.

매출 변동 폭으로는 ‘10% 미만 감소’가 35.9%로 가장 많았고 이어 '10~30% 미만 감소' 34.1%, '30~50%미만 감소' 7.7%로 나타났다.

응답업체의 65%에 달하는 기업들이 지난 5년간 해외시장 매출이 증가해 왔다고 응답한 사실에 비추어 볼 때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수출이 증가세에서 감소세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조사에 참여한 수출중소기업들은 지난 5년간 10% 미만(28.4%), 10~30% 미만(21.5%), 30~50% 미만(6.7%), 50% 이상8.4%)의 순으로 매출이 증가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수출중소기업들은 실물경제 위축 여파로 인해 내년 수출전망 역시 어두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조사대상 기업의 86%가 내년 수출도 감소할 것으로 응답한 반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 비율은 14%에 불과했다.

변동 폭으로는 10% 미만의 감소를 예상한 기업들이 40.6%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10~30% 미만 감소(32.5%), 30~50% 미만 감소(9.1%) 등의 순이었다.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겪는 어려움으로는 환율 상승으로 인한 손실 및 비용증가(53.8%)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외에 해외시장 위축으로 인한 매출감소(22.4%), 금리상승에 따른 자금조달 비용 증가(11.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는 환율과 관련한 애로가 가장 높게 나타난 점에 대해 환율 급변동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한 환헷지 상품이 오히려 손실규모를 키웠다고 분석했다.

또 환율상승에 따른 수입원자재 가격의 상승도 기업들의 어려움을 가중시킨 요인으로 지적했다.

40%에 달하는 수출중소기업이 독자적인 해외 판로가 없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수출중소기업들은 해외판로 개척과정에서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현지 기업과의 경쟁 심화(59.2%)'를 꼽았으며 이밖에도 ‘복잡한 해외유통 구조(9.8%)' ‘현지 법규에 대한 이해 부족(9.2%)’ 등 해외 시장정보 부족을 지적했다.

독자적인 해외판로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은 판로개척 방법으로 구매자와 직접적인 접촉(50.7%), 현지 알선업체의 거래주선(32.9%), 현지 박람회 등 참가(11.5%) 등 방법으로 독자적인 판로를 개척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 중소기업들의 글로벌시장 개척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출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42.4%)’확대, ‘환율변동 등에 대한 금융지원(27.8%)’확대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선 정책자금 지원 확대 뿐아니라 판로개척 지원 강화, 대기업 기술력의 중소기업 접목 등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