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한진칼 투자, 경영권 보호 위해서 아냐”

입력 2020-11-23 14: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이 16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 추진 방안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통합을 위해 한진칼에 8000억 원을 투자하는 산업은행이 이번 투자가 한진칼 ‘계열주’의 경영권 보호가 목적이 아니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산은은 23일 보도자료를 통해 “양대 국적 항공사의 통합과 항공산업 구조개편 작업을 성공적으로 이행해 나가기 위해서는 한진칼에 대한 보통주 투자가 필요하다”며 “현 계열주의 경영권 보호를 위해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산은이 한진칼에 직접 주주로서 참여해 구조개편 작업의 성공적 이행 지원과 건전·윤리 경영의 감시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산은은 “이번 구조개편 작업은 양대 국적항공사의 통합뿐 아니라 양사 산하 LCC와 지상조업사 등 관련 자회사들의 기능 재편까지도 포함돼 있다”며 “한진칼은 지주회사로서 전체적인 통합과 기능 재편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향후 진행될 PMI의 계획 수립 단계에서 세부적인 통합·재편 방안 및 운영 체계가 결정되므로 산은이 컨트롤 타워인 한진칼에 투자해야 어떠한 형태의 통합·재편 방안 구조가 설계되더라도 그에 관계없이 소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산은은 대한항공의 영구전환사채 1800억 원 및 아시아나항공의 영구전환사채 5700억 원을 보유하고 있다. 교환사채 교환대상은 한진칼이 보유한 대한항공 주식 3000억 원이고, 이번 한진칼 보통주 인수금액인 5000억 원보다 더 큰 규모로 자본적 참여를 하고 있다.

산은은 “대한항공의 추가적인 자본 확충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실익은 크지 않다”며 “세부적인 통합·기능 재편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할 한진칼에 대한 신규 투자가 구조개편 작업의 전체적인 지원 및 감독에 있어 기대되는 의의와 효용이 크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산은은 “국책금융기관으로서 국가기간산업의 근본적인 개편 작업이 갖는 의의와 중요성을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고 책임을 부담하고 있다”며 “항공산업 구조 개편 작업의 성공적 이행을 위해 건전·윤리 경영의 감시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