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발전, 발전소 해조류 제거할 수 있는 자동운전 수중 청소로봇 개발 착수

입력 2020-11-05 10: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해 현장실증 경험으로 2022년까지 개발 완료

▲정필식 한국동서발전 발전기술개발원장(왼쪽 세번째) 등이 자동운전 기반 수중 클리닝 로봇 개발 착수회의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동서발전)

한국동서발전이 발전소 폐수조 내 퇴적 찌꺼기와 취수로에 유입된 해조류를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자동운전 수중 청소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다.

동서발전은 4일 발전기술개발원에서 수중로봇 전문기업인 제타크리젠과 자동운전 기반 수중 클리닝 로봇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착수회의를 열었다고 5일 밝혔다.

이번에 동서발전이 개발하는 로봇은 지난해 당진화력에서 현장실증을 시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찌꺼기 준설 성능 향상 △취수로 벽면의 해조류 제거 기능 추가 △자율주행 센서 탑재 등을 통해 주요 성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자동 운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현재 발전소 취수로와 같이 철재가 아닌 콘크리트 재질의 벽면에 자생하는 미역, 따개비와 같은 해조류를 제거하려면 잠수부 투입이 불가피하나, 향후 수중 청소로봇이 개발되면 청소 작업을 로봇이 대체하게 돼 안전사고 위험을 낮출 것으로 보인다.

동서발전은 2022년까지 흡착기술을 융합한 수중 벽면주행기술과 자동운전 알고리즘 등 핵심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발전소 현장에 배치할 계획이다.

동서발전 관계자는 “수중 청소로봇을 비롯해 발전설비 진단로봇 등을 개발해 발전소 현장의 안전성 및 환경성을 개선하고 설비 운영 효율을 향상하고 있다”며 “국내 벤처·중소기업과 협력하여 로봇 산업 생태계 조성과 일자리 창출에도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동서발전은 올해 초 발전설비 자동화 계획을 수립하여 취수설비 등 7개 설비 분야로 나누어 로봇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태양광 모듈 청소로봇, 수중 드론, 전기설비 조작용 로봇 등을 실증하는데 성공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