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를 30대가 가장 많이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부가 부동산 투기의 온상으로 지목한 갭투자가, 실제로는 청년‧신혼부부 실수요자의 유일한 내 집 마련 수단이기도 하다는 반증이다.
국토교통부가 28일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에게 제출한 ‘수도권 연령대별 주택거래 현황’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서울의 갭투자는 71만564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30대는 30.7%(2만1996건)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서울에서 30대 갭투자가 가장 많이 이뤄진 곳은 성동구(39.6%)로 조사됐다. 이어 강서구(35.4%), 중구(35.2%), 동작구(34.7%), 구로구(34.1%) 순이었다.
집값이 비싼 강남권이 아닌 지역들이다. 전문가들은 청년층과 신혼부부가 서울에서 그나마 실거주 매매가 가능한 곳들이라고 설명한다.
서울 외 경기도 성남(36.2%), 과천(33.3%), 광명(29.9%), 안양(35.2%), 구리(32.2%) 등지도 갭투자자 중 30대 비율이 가장 높았다. 청년 세대의 갭투자가 서울을 넘어 수도권 전역에 걸쳐 일어난 것이다.
갭투자 차단 목적의 대출 규제가 담긴 6.1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에도 30대의 갭투자는 이어졌다. 5월 31.0%에서 6월 32.9%, 7월 31.9%로 지속됐다.
아직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기한이 남아 있지만 8월에는 37.6%까지 상승했다. 갭투자 규제를 강화했지만 30대 중심의 실수요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 의원은 “정부는 실수요와 투기를 구분하지 않고, 갭투자 자체를 시장 교란의 온상으로 취급했다”며 “무분별한 갭투자 규제는 자칫 2030 청년 세대의 내 집 마련 사다리를 걷어차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