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우 KAIST 연구팀, 산화 티타늄 신소재 판형 맥신 합성 성공

입력 2020-08-25 13: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재우 KAIST 생명화학공학과교수 (사진제공=KAIST)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재우 교수 연구팀이 이산화탄소처리로 산화 티타늄 신소재 판형 맥신의 합성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맥신은 전자파를 흡수하고 차단하는 신개념 초경량 나노 신소재다. 맥신은 전기전도도가 높고 유연성이 뛰어나 센서‧에너지 저장 및 전환장치‧전자기차 폐수 처리 재료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신물질이다.

이 교수 연구팀은 수용액 상태에서 표면을 벗겨낸 맥신과 이산화탄소의 반응을 통해 산화 티타늄 나노입자가 맥신 표면에 고르게 분포된 판형 맥신을 합성했다. 산화 금속이 고르게 분포된 판형 맥신은 단일공정으로 경제적일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판형 맥신 제작 기술은 맥신 전구체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해당 기술을 통해 길이 500~100나노미터(nm), 지름 20 나노미터(mm)의 판형 맥신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산화 금속 판형 맥신 제조공정은 수용액처리 및 이산화탄소와의 반응으로 이뤄진 단순화된 공정이기 때문에 온도, 반응시간 조절로 다양한 판형 소자 제조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며 “리튬-황 전지 성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