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루트 폭발 원인 '질산암모늄' 국내도 곳곳에…안전관리 '촉각'

입력 2020-08-07 16: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안전관리 주체 분산…컨트롤타워 필요성 제기

▲드론이 상공에서 찍은 레바논 베이루트 대폭발 현장 잔해. (AP연합뉴스)

레바논 베이루트항에서 두 차례 대폭발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질산암모늄'이 전국 곳곳에서 생산·저장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위험물을 관리할 정확한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4일 레바논 베이루트항에 저장된 2750톤의 질산암모늄이 폭발해 157명의 사상자가 났다. 질산암모늄은 농업용 비료 성분으로 많이 사용되는 원료로 쓰이지만 고온이나 가연성 물질과 닿으면 쉽게 폭발하는 성질을 가졌다.

국내에서는 여수와 울산 등 국가 산업단지를 비롯해 화학공단 등에서 대규모로 생산·보관되고 있다.

여수에서는 휴켐스가 연 13만 톤의 질산암모늄을 생산하고 있다. 여수시는 안전관리에 대한 점검을 나섰고, 질산암모늄 자체를 보관하고 있어 사고의 위험성이 낮다는 결론을 내렸다.

연간 1억6600만 톤의 액체화물을 처리하는 등 유해화학물질이 많은 울산도 안전관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 중 질산암모늄 규모는 10만300톤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울산시와 환경부 울산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는 10∼28일 관내 질산암모늄 취급 업체를 긴급 점검하기로 했다.

한화토탈, 현대오일뱅크, 롯데케미칼, LG화학 등이 있는 서산시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4일에는 행정안전부 주최로 서산시 대산읍행정복지센터 회의실에서 열린 '대산공단 사고 발생 대응 태세 점점 회의'에서 시의 대응 계획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기도 했다.

부산항에도 부도 50여 곳에 1740톤의 질산암모늄이 저장돼 있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은 사고가 발생한 후 폭발사고 위험 물질과 관련한 부산항 보관 용량 등을 조사해 특별 관리를 실시했다.

다만 이들 위험물질에 대한 안전관리 주체가 여러 곳으로 나눠져 있다보니 이를 통합해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예를 들어 항구로 들어오는 위험물에 대해 선석의 배정과 현황 파악은 항만공사가 하고, 위험물 선박 입출항과 하역은 부산지방해양수산청, 장치장 설치와 관리는 터미널 운영사, 점검은 소방본부가 담당하고 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관련 법령으로 인해서 위험물 관리 주체가 나눠져 있다"며 "지자체나 중앙부처 차원에서 위험물 관리 주체나 상설 협의체를 만들고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5년간 전국 주요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각종 사고로 218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회에서 공개된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단지 안전관리 체계 현황'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산단 내 화재·가스 누출·폭발 등 143건의 사고가 발생해 76명이 사망하고 142명이 다쳤다.

전체 인명피해자 가운데 사망자는 34.8%에 달했다. 사고 유형별로는 화재 사고가 64건으로 가장 많았고, 산업재해 40건, 폭발 19건, 가스 및 화학물질 누출 18건, 기타 2건 순이었다. 재산피해액은 488억 원에 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