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최저임금 인상률에 5명 중 3명 '찬성'

입력 2020-07-15 08: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 구직자(64.8%), 아르바이트생(58.1%)에게서 찬성표가 많아

2021년 최저임금 긴급설문 결과, 역대 최저 인상률에도 5명 중 3명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 8590원보다 130원 오른 8720원으로 의결됐다.

이에 대해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성인남녀 1078명을 대상으로 14일 하루간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들을 대상으로 찬성과 반대 중 택일하게 한 결과, △찬성 58.8% △반대 41.2%로 각각 집계됐다. 20201년 최저임금 결정안에 대해 성인남녀 5명 중 3명은 찬성, 나머지 2명은 반대한 것.

상태별로는 △직장인(51.6%) △자영업자(50.0%) 보다 △구직자(64.8%) △아르바이트생(58.1%)에게서 찬성표가 많았다.

또한, 연령별로는 △30대(55.5%)에 비해 △20대(63.7%)와 △40대(62.6%)에게서 평균을 웃도는 찬성비율을 보였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청년구직자 및 중년 아르바이트생이라는 점에서 시사점을 남긴다.

아울러, 전년도 조사결과와 완전히 배치된다는 점도 특기할 만 하다. 지난해 7월 2020년 최저임금 의결안 8,590원에 대해 실시한 찬반조사 결과 △찬성 42.0%, △반대 58.0%로 반대가 앞섰었다. 올해는 찬성 비율이 16.8%P 오르고 반대표는 줄었다.

그렇다면 내년도 최저임금 의결안에 대한 선택 배경은 무엇일까?

먼저, 찬성 이유 1위는 △‘안 오른 것 보다는 낫기 때문’(22.2%)이었다. △ ‘동결·삭감이 아닌 조금이라도 인상된 점 자체에 의미를 두기 때문’(21.7%) 역시 맥락을 같이 했다. 경영계가 제출한 내년도 최저임금은 올해 최저임금보다 삭감된 8500원이었다. 즉, 역대 최저 인상률(1.5%)을 기록했음에도 '인상' 자체가 고무적이었다고 판단했다는 점이다. 이는 곧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위기로 기업과 자영업자의 경영난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현 시국을 반영한 응답이라고 볼 수 있다. 이어서 △‘물가도 오르기 때문’(20.9%) △‘우리나라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계속 올려야 한다’(9.7%) 등의 또 다른 찬성 이유들이 전해졌다.

한편, 반대의견도 팽팽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반대이유 역시 △‘인상률이 적어서’ 또는 △‘인상률이 높아서’로 양분된다는 점이다. 단일득표율로는 △‘인상폭이 너무 적기 때문’(34.8%)이 1위였다. 하지만 △‘코로나로 어려워진 경제상황에서 최저임금 인상은 곧 일자리를 줄일 것’(21.4%)이라는 우려를 시작으로 △‘동결 또는 삭감을 기대함’(6.1%) △‘인상폭이 너무 높음’(4.8%)까지 같은 맥락의 답변들을 종합한 결과 32.3%로 집계됐기 때문이다. 이렇듯 반대 이유에도 확연한 입장차가 발견된 가운데, △‘최저임금이 인상되어도 삶의 질이 달라지지 않았음’(17.5%) △‘지난 몇 년간 최저임금 인상이 경제에 부정적인 타격을 가했다고 생각함’(13.9%) 등 최저임금 인상 자체에 비판적인 목소리들도 이어졌다.

본 설문조사는 7월 14일 하루간 실시, 직장인 448명, 구직자 471명 등 성인남녀 총 1078명이 참여했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2.98%포인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