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산업 진흥' 전문가 간담회…"디지털 경제전환 시급"

입력 2020-07-02 10: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과기정통부 제공)

정보보호산업 진흥을 위해 '국가차원의 디지털 경제전환이 시급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과기정통부 정은수 정보보호산업과장은 2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가락청사에서 열린 전문가 간담회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이날 정 과장은 국가 산업 진흥계획 주요내용 발표를 통해 "디지털 전환에 따른 정보보호 신시장 창출이 시급하고, 중점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민간 사이버 복원력 확보를 위한 정보보호 투자 확대 △지속 성장 가능한 정보보호 생태계 조성을 위한 중점 추진과제 등이 발빠르게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과장이 주목한 디지털 경제전환은 사이버 공격에 의한 시스템이나 서비스 피해를 최소화하고, 장애 또는 사고가 발생하기 이전 상태로 혹은 그에 준하는 상태로 신속하게 돌아가려는 역량을 말한다.

(과기정통부 제공)

이를 통해 정부는 2025년까지 정보보호산업 매출액 20조 원 달성, 300억 원 이상 기업 100개 및 정보보호 전문인력 3만 명을 양성해 신규 일자리로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내 정보보호시장은 10.5조 원(2016년 9조, 16%↑) 달성, 정보보호기업 230개사(2016년 864개→1094개, 26.6%↑, 300억 원 이상 상장기업 37개)에 달했다.

특히 정 과장은 "최근 코로나 19에 따른 전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비대면 서비스 확산으로 인한 새로운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보보호산업의 질적 성장과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국민생활과 사회 전반에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경제 전환은 우리 정보보호 업계에게는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에 공감했다.

이어 정보보호업계도 이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안전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인공지능 기반의 신기술 개발과 클라우드 서비스 전환 등 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또한 공공과 민간분야에서도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정보보호 투자 확대를 통해 안전 확보가 우선돼야 한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갈 것을 논의했다.

허성욱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코로나 19를 슬기롭게 대처하고 있는 한국의 K-방역 모델이 정보보호에도 적용돼 위기 극복은 물론 해외진출에 새로운 불씨가 되기를 희망한다”며 “산학연이 다양한 협력을 통해 산업 진흥계획이 실효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요청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