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에너지 밀도 높인 '차세대 리튬 황 전지' 기술 개발

입력 2020-06-25 16: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존 전해액과 새로 개발한 전해액의 차이 (카이스트 제공)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 표지 (카이스트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김희탁 교수팀이 차세대 리튬 황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리튬 황 전지는 전기자동차 등에 많이 쓰는 기존 리튬이온 전지보다 이론 용량이 4배 이상 높아 장시간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다. 반면 전해액(이온 전도성을 갖는 액체) 함량이 너무 많아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전자 공여(다른 화합물에 전자를 전달하는 성질) 능력이 우수한 '리튬 나이트레이트 염'을 전해액에 주입하면 리튬 폴리 설파이드의 용해도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동시에 리튬 금속의 전해질 분해 현상도 억제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고가의 전해액 사용량을 4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희탁 교수는 "황 양극과 리튬금속 음극의 성능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전해액 설계 원리를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 6월 2일자에 게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