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 페트병 분리배출, 12월 전국으로 확대

입력 2020-06-23 1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품질 재활용제품 생산 원료…의류·가방 등으로 재탄생

▲페트병 재활용 체계 및 의류생산 과정. (자료제공=환경부)

현재 시범사업 중인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이 올해 12월부터 전국 공동주택으로 확대된다. 주택은 내년부터 적용한다.

환경부는 올해 2월부터 시행된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시범사업'에 따라 수거된 페트병을 국내 기업들과 협업해 고품질 재활용 제품으로 재생산했다고 23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올해 2월부터 서울, 제주도, 천안, 김해, 부산 지역에서 공동주택·거점 수거시설에 투명 페트병을 별도로 분리 배출하게 한 사업이다.

플리츠마마, 효성티앤씨 등의 업체는 제주도에서 수거한 페트병으로 니트 재질의 의류 및 가방을 제작했고, 에스엠티케이케미칼은 천안시에서 별도 배출된 투명페트병으로 화장품 병을 제작했다. 스파클이 전국에서 방문 수거한 페트병으로는 블랙야크, 코오롱에프앤씨, 티케이케미칼에서 기능성 의류를 생산했다.

환경부는 이같은 시범사업 성과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재활용 가능자원의 분리수거 등에 관한 지침'을 개정, 올해 12월부터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사업을 전국 아파트로 확대·시행한다. 단독주택은 2021년 12월부터 시행한다. 또 하반기부터는 현재 포장재 재질이 표기된 분리배출 표시에 배출 방법을 병행해 표시하도록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2018년 기준 23만7000톤의 페트를 재활용했지만, 절반 이상이 부직포, 솜 등 단섬유로 재활용되고 있다. 앞으로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장섬유(의류) 등으로 재활용되는 양이 10만 톤까지 늘어나면 약 4200억 원의 신규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환경부는 전망했다.

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재생원료 사용 확대는 선형경제에서 순환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초석으로 이에 대한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국내 기업들이 효과적으로 순환경제체제로 전환하도록 선제적으로 지원하고 제도개선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