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위축된 수출마케팅 활동 등도 지속해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진 가운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경기 정책 방향이 성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1일 '최근 글로벌 경기 동향 및 주요 경제 이슈' 보고서에서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충격에 대응하는 부양책 효과의 기대감이 존재하지만 바이러스 확산 가능성도 상존해 봉쇄(Lockdown)과 경제 활동 재개(Reopen)가 반복되는 딜레마가 부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3월부터 지속된 미국 및 유럽 경제 봉쇄가 해제되기 시작하면서 6월 초 감소하던 코로나19 글로벌 신규확진자 수는 이달 중순 증가세로 되돌아 섰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바이러스가 소멸되지 앟는 상황에서 여전히 존재하는 불확실성 및 봉쇄 가능성 등으로 경제 위축은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분석했다.
이외에도 △미ㆍ중 무역갈등 재점화 △코로나19의 신흥국 확산 등과 같은 악재가 글로벌 경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세계 경제 침체는 현재 진행형이다.
미국의 경우, 1분기 GDP는 전기대비연율 마이너스 5%로 2014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최근 대규모 경기 부양 정책으로 경기침체 확률은 하락했으나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2차 감염 등 경기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현대경제연구원은 분석했다.
유로존과 일본, 인도도 코로나19 영향으로 오랫동안 경기 침체에서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중국도 코로나19 충격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3분기부터는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날 것이라고 현대경제연구원은 예상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경기 침체 심화가 예상된 만큼 금융 불안 대응 및 실물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 정책 당국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하반기 경기 부양 정책은 분배보다는 성장에 초점을 두며 민간이 반응할 수 있는 투자 제고 방향으로 설정돼야 한다"며 "금융지원, 대출 규모 증액 및 만기 연장, 위축된 수출마케팅 활동 등을 지속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생존을 넘어 세계 시장 및 미래 트렌드를 선도하는 제품 및 서비스 생산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