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문재인 대통령 "평화, 어렵지만 민주주의로 이뤄내야"

입력 2020-06-10 14: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6.10민주항쟁 기념식 참석...옛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개최

▲문재인 대통령이 6.10 민주화항쟁 기념식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민주인권기념관 예정지에서 열린 제33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에 참석했다. 민주인권기념관 예정지는 권위주의 시대 고문과 인권 탄압의 현장이었던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이 있던 곳이다. 문 대통령은 2017년 서울광장에서 진행된 제30주년 기념식 이후 3년 만에 다시 6.10민주항쟁 기념식을 찾았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평화는 어렵고 힘든 길이지만, 그럴수록 우리는 민주주의로 평화를 이뤄야 한다"며 "그렇게 이룬 평화만이 오래도록 우리에게 번영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갈등과 합의는 민주주의의 다른 이름"이라며 "우리는 갈등 속에서 상생의 방법을 찾고, 불편함 속에서 편함을 찾아야 한다. 그것이 민주주의의 가치"라고 강조했다.

북한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대결국면으로 치닫고 있는 남북관계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민주화운동과 민주주의를 언급하면서 '평화'와 '상생'을 강조함으로써 북한에 간접적인 메시지를 보냈다는 분석이다.

경제 민주화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자유와 평등이 민주주의의 양 날개"라면서 "우리는 마음껏 이익을 추구할 자유가 있지만, 남의 몫을 빼앗을 자유는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또한 지속가능하고 보다 평등한 경제는 제도의 민주주의를 넘어 우리가 반드시 성취해야 할 실질적 민주주의"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또 "우리의 민주주의는 결코 후퇴할 수 없고, 민주주의를 향한 길은 중단할 수 없다"면서 "정부도 일상의 민주주의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역설했다.

남영동 대공분실에 대해서는 "민주인사들이 독재와 폭력의 공간을 민주화 투쟁의 공간으로 바꿔냈다"며 "이제 남영동은 피해자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민주주의 역사를 기억하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는 위대한 민주주의 역사를 기념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반드시 4·3의 명예회복을 이루고, 5·18 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온전히 규명하겠다"고 부연했다.

민주인권기념관 예정지는 권위주의 시대 고문과 인권 탄압의 현장이었던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이 있던 곳이다.

문 대통령은 기념식에서 민주주의 발전 유공자 12명에게 국민훈장 모란장을 직접 수여했다. 정부는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분들이 합당한 예우를 받도록 하기 위해 4.19혁명 60주년, 5.18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을 계기로 포상을 추진했다. 정부가 6.10 기념식에서 훈장을 수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민훈장 모란장 수여자는 고 이소선, 고 조영래, 고 지학순, 고 조철현(조비오 신부), 고 박정기, 고 성유보, 고 김진균, 고 박형규, 고 김찬국, 고 권종대, 고 황인철, 배은심 씨 등이다.

이번 정부 포상에는 국민포장 2명, 대통령 표창 5명도 포함됐다. 국민포장은 조지 오글 목사, 고 제임스 시노트 신부 등이다. 대통령 표창은 이순항(3.15기념사업회 고문), 최갑순(전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회장), 홍종흠(2.28기념사업회 원로자문위원), 최우영(전 3.8기념사업회 회장), 패리스 하비(국제노동권리기금 목사) 등이다.

문 대통령은 기념식 후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박종철 열사가 물고문으로 사망한 남영동 대공분실 509호 조사실을 방문하고 헌화했다. 이 자리에는 고 박종철 열사의 유족(형)인 박종부 님, 민갑룡 경찰청장,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지선 이사장, 행정안전부 진영 장관 등이 동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