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가운데 8번째로 높아…장혜영 “취약계층 현황 자세히 살펴야”
![](https://img.etoday.co.kr/pto_db/2020/04/600/20200403171253_1444730_800_471.jpg)
▲장혜영 정의당 의원 (연합뉴스)
장혜영 정의당 의원은 10일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2019년 국민계정 잠정통계 등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가계부채비율은 전년 대비 5.5%포인트(P) 늘어난 190.7%였다.
가계의 부채 상환 능력을 보여주는 가계부채비율은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가 얼마나 많은지 나타낸 지표다. 가계부채가 많아지면 가계의 원리금상황 부담을 높이고 가구의 재무 위험을 높여 소비지출을 제약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한국의 가계부채비율은 2017년 181.8%, 2018년 185.1% 등 해마다 증가세다. 2015년 162.3%와 비교하면 5년새 28.4%P나 늘어났다.
우리나라는 2018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가운데 한국은 덴마크(282%), 노르웨이(239%) 등에 이어 8번째였다. 여기에 올해 수치를 대입하면 한국은 6위로 뛰어오른다. 일본(107%), 미국(105%), 독일(95%), 이탈리아(87%) 등 주요 선진국은 가계부채비율이 한국의 절반 수준이었다. 가장 낮은 나라는 러시아(30%)다.
장 의원은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가계부채증가폭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가계부채비율 상위는 대부분 북유럽 국가로 사회안전망이 잘 구축돼 있어 가계의 실제 상환 부담 등이 수치에 비해 낮은 편”이라며 “한계상황에 있는 가계와 취약계층의 차입 증가와 소득 단절 등 현황을 자세히 살펴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