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경력직도 타격…직장인 70% “이직도 미뤘다”

입력 2020-05-19 08: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사람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기업들의 채용이 위축되면서 경력직 시장도 함께 얼어붙었다. 실제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코로나19로 인해 이직을 미뤘다.

19일 사람인이 이직 의사가 있는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이직에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69.7%가 ‘미뤘다’고 답했다.

재직 기업 규모에 따라서는 중소기업(70.8%), 중견기업(70.5%), 대기업(61.7%) 순으로 이직을 미뤘다. 직급별로는 ‘대리급’(75.1%), ‘사원급’(69.3%), ‘과장급’(68.4%), ‘부장급’(60.9%), ‘임원급’(56.3%) 순이다.

직무별로도 차이가 컸다. ‘마케팅’(82.4%) 종사자가 이직을 가장 많이 미룬 것으로 조사되면서다. 또 ‘재무/회계’(77%), ‘디자인’(76.9%), ‘영업/영업관리’(74.1%), ‘서비스’(71.3%) 등의 종사자들이 이직을 미룬 경우가 많았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80%), ‘건설’(76.9%), ‘유통/무역’(75%), ‘식음료/외식’(74.3%), ‘서비스업’(74.3%), ‘정보통신/IT’(73.9%) 등 순이었다.

이직을 미룬 가장 큰 이유는 원하는 기업의 채용 공고가 나오지 않아서(53.4%, 복수응답)였다. 또 경영 악재로 채용 취소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심해서(48.1%), 이직한 회사 사정이 급격히 안 좋아질 수 있어서(20.4%), 지원하려던 채용이 중단되어서(20.4%) 등도 많았다.

이직 시점을 ‘코로나19 종식 후’로 미룬 사람은 절반 가량(46.3%)에 달했다. 다만 응답자 78.8%가 이직에 코로나19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는 등 이직은 보다 까다로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이들 직장인들이 예상하는 올해 이직 성공률은 평균 51.8%로 낮은 수준이었다.

이와 같이 생각하는 구체적인 이유로는 지원할만한 채용 공고 축소(76.4%, 복수응답)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갑작스런 채용 중단, 취소 등 발생(58.1%), 기업 실적 악화로 처우가 불만족스러울 가능성(41.8%), 자격증 시험 일정 연기 등으로 취득 차질(18.3%), 코로나 이전보다 더 까다롭게 채용 평가(16.4%) 등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