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後 보호무역 거세진다…무협, "'디지털 무역' 공략해야"

입력 2020-05-13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국 우선주의 남발, 미ㆍ중 갈등 재격화, 국제 공조 약화로 경쟁적 보호무역 심화 예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주요국의 자국 우선주의 남발, 미ㆍ중 갈등 재격화, 국제 공조 약화 등으로 경쟁적인 보호무역이 심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제공=무역협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주요국의 자국 우선주의 남발, 미ㆍ중 갈등 재격화, 국제 공조 약화 등으로 경쟁적인 보호무역이 심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가 13일 발표한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통상환경의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로 미국 등 주요국은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앞다퉈 경제 개입을 확대하고 무차별적인 보조금 지급에 나서고 있다. 내년부터는 무역구제, 반덤핑 등 수입규제 조치도 늘어날 전망이다.

인도, 독일, 이탈리아 등은 경영난에 빠진 자국 기업이 외국자본에 헐값에 팔리지 않도록 외국인 투자 심사를 강화하는 추세다. 유럽연합(EU), 미국, 일본은 중국 중심의 글로벌밸류체인(GVC)에 대한 반성으로 리쇼어링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늘리고 있다.

▲주요국의 외국인 투자 제한 조치 (사진제공=무역협회)

보고서는 “미ㆍ중 갈등 심화가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국제 공조를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면서 “지난 1분기 미국의 중국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4% 감소함에 따라 중국의 미국 상품ㆍ서비스 수입 확대를 골자로 하는 1단계 합의 이행 가능성은 더욱 낮아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은 합의 이행뿐 아니라 보조금, 환율, 수출입 통제 등 다양한 사안을 두고 통상 압박의 수위를 높여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그러면서도 “코로나19가 통상환경에 부정적이지만은 않다”며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전자상거래 등 온라인 비즈니스가 성장함에 따라 디지털 무역의 중요성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간 지지부진하던 세계무역기구(WTO) 전자상거래 협상 등 디지털 무역에 대한 국제규범 논의가 새롭게 물살을 타고, 전염병 치료제 개발을 위한 개인 의료정보 활용과 국경 간 자유로운 이전 등은 데이터 경제가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원석 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차장은 “한국은 성공적인 방역으로 쌓은 이미지를 활용해 교역 활성화를 위한 국제 공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대내적으로는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의 계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