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2020년 메이커 스페이스 66곳 추가 선정

입력 2020-05-06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쟁률 7:1…코로나19 위기 극복에 필요한 중점 분야 선정 확대

중소벤처기업부가 혁신적인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2020년도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ㆍ운영사업’ 주관기관 66개를 선정했다.

중기부는 올해 491개 기관이 신청해 7: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전국 17개 시ㆍ도의 일반랩 62개와 전문랩 4개를 추가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전문랩은 소프트웨어, 에너지신산업, 탄소소재, 목공 및 금속 분야에 한한다.

생활 밀착형 창작공간인 일반랩은 5년간 최대 5억 원, 지역 내 전문 창작활동의 거점공간인 전문랩은 5년간 최대 40억 원을 공간, 장비 구축 및 운영을 위해 지원받게 된다.

선정 현황을 보면 목공ㆍ금형ㆍ3D 프린터 등의 제조업 중심에서 콘텐츠ㆍICTㆍ바이오 등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특히 1인 크리에이터, 애니메이션 제작 및 ARㆍVR 제작 등 콘텐츠 분야, SW와 무선통신 지원 등 ICT 분야, 각종 암 치료, 치기공, 푸드테크 등 바이오 분야의 특화 전문기관이 선정됐다.

‘메이커 스페이스’는 일반인들이 누구나 찾아가 아이디어를 시제품으로 만들수 있는 창작 공간이다. 작년 말 기준 전문랩 8개, 일반랩 115개 등 123개의 메이커 스페이스가 운영 중이다.

일반랩은 학생‧일반인을 대상으로 목공장비, 3D 프린터 등을 활용해 생활 속 아이디어를 만들어 볼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전문랩은 레이저커팅기, CNC(컴퓨터 수치제어) 선반 등의 전문 제조 장비를 통해 시제품 제작부터 양산까지 돕는다.

중기부는 “현재 제조업 기반의 메이커스페이스는 어느 정도 구축되어 있는 상황”이라며 “향후 코로나19 등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 바이오 등의 특화 분야에 대해 보다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