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꿈의 소재' 탄소나노튜브 공정 1200톤 증설

입력 2020-04-27 09: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총 1700톤 생산능력 확보…"차세대 고부가 소재 선도할 것"

▲LG화학 여수 탄소나노튜브(CNT) 공장 전경 (사진제공=LG화학)

LG화학은 내년 1분기까지 여수공장에 탄소나노튜브(CNT) 공정을 1200톤(t) 규모 증설한다고 27일 밝혔다. 투자금액은 약 650억 원이다.

증설을 마치면 LG화학은 기존 500t에 더해 총 1700t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탄소나노튜브란 전기와 열전도율이 구리ㆍ다이아몬드와 같고 강도는 철강의 100배에 달하는 차세대 신소재다. 배터리, 반도체, 자동차 부품, 항공기 동체 등에 쓰이며 '꿈의 신소재'라 불린다.

LG화학 관계자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과 더불어 최근 리튬이온배터리의 양극 도전재 용도로 급성장하는 탄소나노튜브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도전재란 전기ㆍ전자의 흐름을 돕는 소재로 소형ㆍ중대형 리튬이온배터리 전반의 첨가제로 쓰인다.

탄소나노튜브를 양극 도전재로 쓰면 기존의 카본블랙보다 10% 이상 높은 전도도를 구현해 도전재 사용량을 약 30% 줄일 수 있다. 남는 공간은 양극재로 채워 리튬이온배터리의 용량과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지난해 3000t 규모였던 탄소나노튜브 수요는 2024년 1만3000t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더 나아가 LG화학은 탄소나노튜브를 리튬이온배터리에 적극적으로 적용해 전기차 배터리 제품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북미, 유럽, 중국 등 글로벌 IT 소재 업체와 완성차 업체를 대상으로 판매 규모를 점차 늘릴 계획이다. 2022년에는 추가적인 증설도 검토 중이다.

이번 투자를 통해 LG화학은 석유화학 분야에서 추진 중인 차별화된 기술 기반의 제품구조 고도화 전략에 더욱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노국래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글로벌 소재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기술력과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해야 한다”며 “향후 탄소나노튜브를 비롯해 차세대 고부가 소재 분야에서도 독자기술 및 양산 경험을 바탕으로 압도적인 시장선도 업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