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中 원격근무 시장 2배 성장 전망…코로나19로 언택트 산업 주목"

입력 2020-04-15 16: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무협, 온라인교육·원격진료 등 관련시장 규모 7.7조원으로 관측

▲최근 중국 원격근무 시장 규모 추이 (자료 제공=한국무역협회)

중국의 원격근무 시장이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전년보다 2배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北京)지부는 15일 ‘코로나19로 주목받는 중국의 언택트 산업’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방역에 따른 재택근무가 증가하면서 올해 관련 시장 규모가 449억 위안(7조7335억 원)에 이를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는 2018년(117억 위안)보다는 3.8배, 지난해 추정치인 229억 위안보다 2배 늘어난 수치다.

중국의 원격근무 이용률은 2018년 기준 0.6%로, 미국(18.9%), 영국(12.8%) 등 다른 국가에 비해 크게 낮았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원격근무, 온라인교육, 원격진료, 신선식품 온라인 구매 등 비대면 기반의 언택트 산업이 각광을 받으며 관련 시장이 확대될 조짐이 보이고 있다.

3월 알리바바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딩톡(釘釘)은 하루 최대 1억 명 이상이 2000만 건의 화상회의를 이용하는 등 서비스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중국에서는 개학이 연기되고 학원들이 문을 닫으면서 온라인 교육서비스가 오프라인을 대체하고 있다. 중국 최대 교육 서비스 기업 신동방은 1월 말부터 모든 강의를 온라인으로 전환해 97만명 이상이 온라인 수업에 참여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원격진료 서비스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올해 춘제 기간 중국 주요 온라인 의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진료를 받은 이용자는 하루 최대 671만명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0% 이상 증가한 수치다.

이에 따라 중국의 원격의료 시장규모는 지난해 190억 위안을 넘어서 올해 더욱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신선식품의 온라인 구매도 크게 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메이르유셴(每日優鮮·텐센트), 징둥다오자(京東到家·징둥닷컴), 허마셴성(盒馬鮮生·알라바바) 등 주요 플랫폼의 춘제 연휴 매출이 예년보다 3∼4배 이상 증가했다.

무역협회 베이징지부 박민영 지부장은 “과거 온라인 쇼핑 등 소비자 대상(B2C)으로 시작된 언택트 산업이 기업 간 거래(B2B)를 비롯해 사회 전반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앞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각종 무인 서비스, 홈 엔터테인먼트 등 분야의 발전과 더불어 언택트 산업이 일상화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