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커져가는 임팩트 투자, 활성화 초석 다지는 적기 놓치지 않길

입력 2020-04-06 13: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근 한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이럴 때 기업은 보통 인수합병(M&A)이나 구조조정으로 돌파구를 찾는다.

하지만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한 발 더 나갔다. ‘사회적 가치’와 ‘행복’을 화두로 내세웠다. “당장 먹고 살기도 어려운데 사회적 가치까지…”라는 세간의 비아냥 섞인 말에 이게 바로 ‘사업의 본질’이라고 주저없이 답한다.

그 하나로 SK가 추진한 게 ‘임팩트 투자’다. 지난해 SK는 KDB산업은행, 이재웅 쏘카 대표 등과 손잡고 500억원 규모의 ‘임팩트 투자’ 펀드 조성을 위한 투자조합 결성을 맺었다. 사회·환경 문제 해결 등 사회적 가치 창출에 힘쓰는 벤처·스타트업 기업을 위한 투자에 흔 쾌히 곳간 문을 연 것이다.

국내 임팩트 금융의 규모는 2018년 기준 한 해 총 1000억 원이며, 매년 확대 추세에 있다. 투자기관도 정부와 지자체, 대기업 등을 넘어 사모펀드(PE)와 벤처캐피탈(VC) 등에서도 참여가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제도적 현실은 걸음마 수준이다.

임팩트 투자는 국내에서 아직은 특정 카테고리로 분류돼 있기보다 투자의 한 종류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현재 투자를 관리하는 도와주는 주무부처 또한 명확히 분류돼 있지 않은 상태다. 이렇다 보니 일반 벤처인증 기업이나 투자자에게는 여러 세제 혜택이 제공되고 있지만, 소셜벤처나 사회적 기업들과 이에 투자하는 임팩트 투자자들은 세제 혜택을 받지 못한다.

현재 미국과 일본 영국, 프랑스, 호주 등 세계 각국 정부들은 민간과 정부가 함께 논의할 수 있는 국가자문위원회를 설치하는 체제 등을 마련해 임팩트 투자 활성화를 장려하고 있으며, 민간 임팩트 투자 중개지원기관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한 취재원은 “그릇의 크기를 키우면서 그릇 안에 최대한 많은 기업과 투자자들이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노벨 경제학자 로버트 실러는 발전의 원동력은 제도와 문화라고 했다. 혁신을 지향하는 성장의 문화는 경직된 제도와 법 논리로는 발을 붙이지 못한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제도적 혁신과 유연성이 아닐까. 오예린 기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