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값 하락세...소형 평형까지 확산

"경제불안에 매수세 실종, 급매물도 안팔려"

최근 주택거래 침체로 서울지역 아파트값 약세가 중대형에 이어 소형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달 서울지역 66㎡(20평형) 이하 아파트값은 0.2% 떨어지며 올 들어 월평균 기준으로 첫 하락세를 기록했다.

서울 66㎡ 이하 주택형은 노원, 도봉구 등 강북지역 아파트값 강세에 힘입어 지난 3월에는 한달 동안 3.82%나 급등하는 등 상반기 내내 강세를 보였다. 특히 상반기 내내 강세였던 69~99㎡(21~30평형)도 지난 달 처음으로 0.07% 떨어져 약세 대열에 합류했다.

중대형인 102~132㎡(31~40평형)와 135~165㎡(41~50평형)이 지난 7월부터, 168㎡(51평형) 이상은 지난 5월부터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중인 것을 감안하면 중대형에서 시작된 약세가 소형으로 확대되는 모습이다.

이와 같은 소형 약세는 상반기에 아파트값 상승세를 이끌었던 노원구, 도봉구 등 소형 아파트 밀집지역이 최근 거래가 끊기며 약세로 돌아선 게 가장 큰 원인이다.

노원구 상계동 벽산 59㎡(17평형)는 지난 8월 평균 1억9250만원에서 현재 1억8250만원으로 1000만원 하락했다.

또한 노원구 중계동 중계그린 59㎡는 2억500만원, 도봉구 창동 상계주공 17단지 52㎡(15평형)는 1억4500만원으로 8월 대비 각각 1000만원씩 떨어졌다.

노원구 상계동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최근 경제 불안 등으로 주택매수심리가 실종되고 소형 매수세까지 사라지고 있다"며 "요즘엔 급매물도 잘 팔리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형은 정부가 지난 달 양도소득세 고가주택 기준과 종합부동산세 대상 기준을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상향 조정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지난 달에도 135~165㎡(41~50평형)와 168㎡(51평형) 이상은 일제히 0.24%씩 떨어졌다.

서울외에 분당 66㎡(20평형) 이하도 지난 달 평균 -0.59%로 올들어 첫 하락세를 기록했다. 분당은 올들어 다른 주택형의 하락세 속에 66㎡만 유일하게 상승세를 보여왔지만 지난 달부터 상승세가 꺾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