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최악의 경우 코스피 바닥 1100선까지 가능”

입력 2020-03-13 10: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 13일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한 외환딜러가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세계 증시로 번지는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최악의 경우 코스피 지수가 1100선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13일 이효석ㆍ안영진ㆍ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일반적으로 금융위기가 발생하면 주가는 -50% 수준까지 급락한다”며 “올해 코스피 최고점이 2267이었는데 이를 적용하면 약 1100 수준까지 하락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미 유동성이 많이 풀린 상황에서 향후 금융위기를 극복할 뚜렷한 정책이 제시되지 않으면 2008년 금융위기보다 더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며 “상상하기조차 싫은 시나리오”라고 강조했다.

이어 “코로나19가 시장에 주는 영향은 공급망에 대한 우려에서 총 수요에 대한 우려로 확산하고 있다”며 “OPEC+(석유수출국기구와 주요 10개 산유국의 연대체)의 감산 실패는 유가 하락에 따른 디플레이션 우려에서 해당 기업의 신용 리스크로 확대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렇게 취약해진 시장에 기대할 것은 정책밖에 없었는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연설 이후 시장은 크게 실망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하나금융투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공포가 글로벌 경기 침체로 번지는 최악의 경우를 상정한 경우 코스피 바닥을 1600선으로 제시했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당초 국지적이고 일시적인 충격으로 제한될 것으로 봤던 중국 코로나19 발 매크로 충격파는 이제 과거 글로벌 시스템 리스크 당시에 견줄 수준까지 확대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원은 “코로나19 발 경기침체 우려를 글로벌 정책 공조로 일정 수준 상쇄하면 글로벌 경제 내 가장 취약한 연결고리인 신흥국의 동반 후퇴 정도로 제한될 전망”이라며 “이 경우 시장 바닥은 1750선”으로 내다봤다.

다만 김 연구원은 “극한의 코로나19 공포가 정책 공조 방파제를 넘어 글로벌 경기 침체로 시시각각 스며드는 구도라면 글로벌 위험자산은 물론 신흥국 증시의 와해적 상황 변화가 불가피하다”며 “신흥국 시스템 리스크가 현실화할 때 시장 마지노선은 20년 이동평균선 부근에서 형성됐다”고 짚었다.

이어 “이에 상응하는 코스피 지수를 추정하면 1600선으로 이는 백약이 모두 무효한 상황에서 상정할 수 있는 최악의 경우의 수”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