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워진 '갭투자'…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70%선 무너져

입력 2020-02-27 10:16수정 2020-02-27 16: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년 3개월 만에 최저치… 서울은 55.6%

▲2015~2020년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추이. (출처=KB국민은행)
전세를 끼고 집을 사서 시세 차익을 노리는 갭투자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집값과 전셋값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어서다.

27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이달 전국의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은 69.8%다. 지난달 조사 때(70.0%)보다 0.2%포인트 떨어졌다.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이 70%를 밑돈 건 2014년 11월 이후 5년 3개월 만에 처음이다.

전세가율은 주택 매매가격과 전셋값 사이 비율을 말한다. 전세가율이 높을수록 갭투자를 하기 유리하다. 집을 살 때 실제 필요한 자금 액수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지역별론 세종의 전세가율이 50.5%로 가장 낮았다. 서울(55.6%)과 제주(63.1%), 대전(67.8%), 부산(68.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강원(80.5%)과 충북(80.5%), 경북(80.3%)에선 매매가격과 전셋값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서울 시내 자치구 중엔 용산구(46.5%)와 강남구ㆍ송파구(47.7%), 영등포구(49.3%) 순으로 전세가율이 낮았다. 중랑구(65.6%)와 중구(63.1%), 강북구(62.9%) 등에선 전세가율이 다른 구보다 높았다.

최근 전세가율이 떨어진 것은 최근 아파트 매매시장이 뜨거워지면서 매매가격과 전셋값 차이가 빠르게 벌어지고 있어서다. 이달 전국의 아파트 중위가격은 3억7370만 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3억5113만 원)보다 6.4% 올랐다. 같은 기간 아파트 중위 전셋값은 2억2880만 원에서 2억3128만 원으로 1.1% 상승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