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개발원, '가입자 1000만 명 육박' 휴대폰보험 참조순보험요율 제공

입력 2020-02-25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보험개발원은 경험통계 부족으로 요율 산출이 어려운 보험사들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휴대폰보험 요율을 산출할 수 있도록 참조순보험요율을 산출해 제공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를 위해 주요 통신사(SKT, KT, LG U+)에서 운영 중인 휴대폰보험 통계를 집적·분석해 참조순보험요율을 산출했으며, 최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신고수리를 받았다.

참조순보험요율은 보험사들의 경험통계를 기반으로 산출한 평균적인 요율이며, 실제 보험료 책정시 보험사들은 참조순보험요율 및 회사 사업비 등을 고려해 적정 수준의 보험료를 자체적으로 책정하고 있다.

휴대폰보험 참조순보험요율은 리퍼폰 제도를 운영 중인 아이폰과 그밖의 휴대폰에 대해 보상한도 및 자기부담금에 따라 차등화하는 방식으로 산출했으며, 통신사별로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는 휴대폰보험 플랜에 포괄적으로 요율 적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보험사들은 과거 경험통계 실적을 바탕으로 적정 휴대폰보험 요율을 산출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가입자수가 1000만 명에 육박하는 휴대폰보험은 명실상부한 국민보험으로, 휴대폰의 도난·분실 또는 파손시 새로운 기기로 교체해주거나, 수리비를 지급하는 보험이다.

그간 휴대폰보험은 위험평가의 어려움으로 재보험자가 제시하는 요율(협의요율)을 적용해 왔는데, 보험료 수준의 적정성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유승완 보험개발원 팀장은 “연간 보험료 규모가 5000억 원 수준인 휴대폰보험 시장의 보험요율 체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출발점이 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폴더블 스마트폰처럼 신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이 속속 출시되고 있는데, 모바일기기 기술발전에 부응할 수 있도록 휴대폰보험 참조순보험요율체계도 지속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