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말투데이]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정보전염병

입력 2020-02-24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조성권 국민대 객원교수

☆ 로버트 풀턴 명언

“미국이 운하로 인해 통합된다면 미합중국을 독립된, 그리고 분리된 정부들로 갈라놓는 것은 불가능해질 것이다.”

미국의 기술자. 외륜 기선(汽船) 클러먼트호를 진수시켜 허드슨강의 뉴욕~올버니 간 세계 최초의 기선에 의한 정기항로를 개설해 상업적으로 성공한 선구자. 그가 동부와 서부를 잇는 이리(Erie)운하 건설을 추진하며 한 말. 그는 오늘 세상을 떠났다. 1765~1815.

☆ 고사성어 /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은 왔지만 봄 같지가 않다’는 뜻. 전한(前漢) 원제(元帝)의 궁녀 왕소군(王昭君)을 두고 지은 시구다. 절세미인인 그녀는 흉노와의 화친정책에 의해 흉노 왕에게 시집가게 된 불운한 여자였다. 동방규(東方叫)의 소군원(昭君怨) 시의 구절. “이 땅에 꽃과 풀이 없으니 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胡地無花草 春來不似春]”

☆ 시사상식/ 정보전염병(infodemic)

잘못된 정보가 미디어,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해 급속하게 퍼져나가는 것이 전염병과 유사하다는 데서 생겨난 용어. 정보(information)와 전염병(endemic)의 합성어. 전문적이고 공식적인 매체를 비롯해 전화나 메시지 등 비공식 매체를 통해 확산되며, 전파 속도가 빨라 잘못을 바로잡기가 어려워 시장의 혼란을 키워 문제가 되고 있다.

☆ 우리말 유래 / 노들강변

버드나무가 휘휘 늘어진 강변을 흔히 연상하지만, 서울의 ‘노량진(露梁津)’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 유머 / 할 말 하는 피고

한 피고를 무려 일곱 번이나 재판하게 된 판사가 “쯧쯧, 자네를 또 만났군. 피고는 날 보는 게 부끄럽지도 않나? 내가 지방법원 판사로 있으면서 오늘까지 피고를 만난 게 벌써 일곱 번째라고. 너무한다고 생각하지 않나?”라고 말했다.

피고의 답변. “판사님도 참 이상한 분이네요. 판사님이 승진 못한 게 왜 제 탓입니까?”

채집/정리: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