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까지 전 국가 보유물품 및 조달물품에 RFID 적용
지식경제부는 국내 RFID(무선인식)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대규모 수요를 창출하고 대표적인 도입 성공사례로 육성하기 위해 조달청과 공동으로 2010년까지 국가 보유물품 관리 및 정부조달 분야에 RFID를 전면 적용키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를 통해 2010년까지 국가 보유물품에 대해 870만여개, 신규 도입물품에 매년 240만개의 태그 소요가 발생하는 등 국내 RFID 관련 기업에 위한 대규모 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올해에는 4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국가기관의 중앙조직 전체(52개 기관, 국정원 등 특수 기관은 제외)에 RFID 도입을 추진하고, 2009~2010년에는 국가기관의 잔여 지방조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기존 보유물품에 대한 태그 부착과 함께, 신규 도입물품에 대해서도 RFID를 적용하기 위해 태그 부착 납품제도를 실시할 예정이다.
올해는 컴퓨터 본체, 모니터 등 4개 품목을 대상으로 동 제도를 적용하고, 2010년까지 전 물품(189종)에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RFID/USN 전문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하드웨어(태그 발행기 대상) 분리발주를 시범 실시하고 점차 적용분야를 확대하기로 했다.
지경부는 정부 조달분야 이외에도 도시 시설물, 우편 물류 분야를 RFID 도입 시 성공가능성과 파급효과가 큰 3대 전략분야로 선정한 바 있어, 내년부터는 해당 분야에서도 대규모 RFID 수요가 지속적으로 창출돼 국내 관련 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