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국 은행업, 신종코로나 영향 자산건전성 등 부담”

입력 2020-02-05 20: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제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5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산이 한국 은행업의 자산 건전성과 수익성에 부담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정부 차원에서 확장적 재정 정책을 시행하는 가능성도 제기했다.

S&P는 이날 보고서에서 “신종 코로나 발원지인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기업들에 부담이 되고, 내수 소비 침체로 가계 소득이 감소하면 부채 수준이 높은 한국 가계의 대출 건전성이 압박을 받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은행들의 대손 비용이 완만하게 증가할 전망”이라며 “세계적인 공급 과잉과 경쟁 심화로 조선, 해운, 철강 업체들의 어려움이 이어지고 자동차 등 제조업체들도 공급 차질로 부담이 가중되고 있으며 도소매ㆍ숙박ㆍ요식 업체들도 신종 코로나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은행들은 적정한 수준의 자본 여력과 신중한 위험도 관리를 바탕으로 신용도를 유지할 것”이라며 “최근 수년 동안 대출 심사기준을 강화하고 충당금을 적립해왔고 조선, 해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위험 업종에 대한 익스포져(위험노출액)를 줄여왔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경제에 심각한 영향이 예상되면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확장적 재정정책과 완화적 통화정책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은행은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로 인한 경기 둔화를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