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 공포에 백화점 매출 직격탄…롯데 본점 30%↓·신세계 본점 24%↓

입력 2020-02-03 11: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롯데 시내 면세점 평소보다 매출 30% 급락

▲<YONHAP PHOTO-4219> 신라면세점 서울점, 확진자 다녀가 임시휴업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방문이 확인됨에 따라 2일부터 임시 휴업에 들어간 신라면세점 서울점 앞에 임시 휴업 안내문이 설치되어 있다. 2020.2.2 pdj6635@yna.co.kr/2020-02-02 11:37:17/<저작권자 ⓒ 1980-2020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산에 백화점이 직격탄을 맞았다. 감염 우려에 매장 방문객이 줄면서 매출이 급감하는 한편 일부 면세점은 휴업에 나서 메출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의 지난 주말(1∼2일) 매출은 지난해 설 연휴 직후 첫 주말(2019년 2월 9∼10일)과 비교해 11% 감소했다. 특히 중국인이 즐겨찾는 서울 명동에 위치하고 면세점과 건물을 함께 쓰고 있는 명동 본점의 경우 매출이 30% 급락했다.

신세계백화점 역시 지난 주말 매출이 12.6% 줄었고, 명동 본점 매출은 23.5% 쪼그라들었다. 현대백화점은 전체 매출이 8.5% 줄었고 본점인 압구정점은 7% 감소했다. 15번 확진자의 배우자가 근무하는 AK플라자 수원점도 3일 휴업에 나서며 매출 감소가 예고돼 있다.

면세점 상황은 더욱 좋지 않다. 한한령(한류 제한령) 해제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기대가 높아지던 업계는 당혹스러운 표정이 역력하다. 롯데면세점은 소공동 시내 면세점 매출이 평소보다 30% 정도 감소했고, 신라면세점은 12번째 확진자가 다녀간 것으로 확인되면서 아예 전날부터 서울 장충동 서울점이 임시 휴업에 들어갔다.

백화점 관계자는 “주말 분위기가 거의 얼어붙은 것은 사실”이라면서 “확진자의 경로에 당사가 포함됐을까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서 유통업체 매출이 급락했던 2015년 6월처럼 매출 하락이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 2015년 6월 백화점 매출은 전년 동월보다 11.9% 감소했고, 전월에 비해서는 26.7% 급락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