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9대책]그린벨트 해제, 대단위 주거지 주변 유력

입력 2008-09-19 16: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9일 발표된 정부의 도심공급 활성화 방안에 따라 그린벨트 추가 해제가 유력해지자 서울 주변 그린벨트 지역 분위기가 크게 달아오르고 있다.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주택공급 계획은 지난 9일 이명박 대통령이 가진 국민과의 대화에서 처음 나왔다. 당시 이 대통령은 '서울 도심과 도시근교의 주택공급이 부족하다'는 자신의 생각을 밝힌 뒤, '그린벨트를 풀어서라도'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그린벨트 조정지와 한계농지 등 조만간 보금자리 주택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해당 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는 상태다.

물론 정부는 그린벨트 추가해제에 따른 여론의 반대를 의식한 듯 그린벨트 추가해제는 가능한 뒤로 미루고 구릉지, 산지, 한계농지와 그린벨트 조정지 개발을 우선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말이 지켜지길 기대하긴 어렵다. 국토부는 9.19대책에서 도시근교에서 40만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경우 국토부는 약 100㎢ 가량의 택지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반면 그린벨트 조정지도 26㎢밖에 없어 결국 나머지 택지는 모두 그린벨트를 추가해제해야 충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국토부는 부동산시장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그린벨트 해제 폭과 해제 지역에 대해 모두 함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시장에서는 서울 은평구, 강남구, 송파구 등지의 그린벨트가 해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대통령의 언급을 볼 때 서울 근교 그린벨트가 보금자리 주택용지로 사용될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송파구, 강남구, 은평구 등은 각각 송파신도시와 수서지구, 은평뉴타운 등 그린벨트와 인접한 곳에 대단위 주거지역이 들어서고 있어 인프라를 추가로 놓은 필요가 없는 것도 강점이다.

그런 만큼 당초 그린벨트 해제 예정지로 꼽혔던 서울 서남부지역은 인프라 확보 면에서 부족한 만큼 해제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경기도에선 역시 주거지역이 형성돼 있는 과천~안양 사이와 하남, 의왕, 고양 등이 거론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