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0/01/600/20200102084019_1408301_256_340.jpg)
고령화 시대로 들어서면서 노인성 질환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매일 반복해서 사용하는 관절은 점진적으로 기능이 저하되며, 우리의 신체관절 중 무릎관절은 대부분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신체 기능 저하 및 퇴행성 변화가 더욱 빨리 찾아 온다. 이러한 현상을 퇴행성 관절염이라고 하며 주로 중년층에서 노화가 진행되어 빈번하게 발생한다.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의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관절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퇴행성관절염은 체중을 많이 받는 관절 즉 무릎 관절, 엉덩이 관절 등과 관계가 깊다. 이는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고령인구에서 퇴행성 관절염의 유병률은 37.8%이며, 남성에서 20.2%, 여성에서 50.1%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약 3배 높은 유병률을 나타낸다.
해당 질환은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기 힘드며, 관절을 움직일 때 소리가 발생한다. 만약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고 방치하여 증상이 심하게 진행된 경우 다리 형태가 0자형 다리로 변해 걸을 때 아프고 절뚝거리게 되거나 저녁 때 특히 잠자기 전에 통증이 심해지는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질환의 초기에는 따뜻한 찜질, 소염진통제로 통증과 근육 강직을 감소시키고 근력강화 운동을 통해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연골이 닳거나 발병 부위가 붓고 주변 부위까지 통증이 느껴지기 시작한다면 병이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이기 때문에 증상이 악화되기 전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김욱중 광명21세기병원 원장은 “퇴행성 관절염과 같은 질환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한다면 보존적인 치료를 통해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관절의 연골 상태와 관절 변형이 진행되었다면 수술적인 방법을 고려해야 하며, 이때는 관절내시경 수술을 통해 퇴행성 관절염의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라고 전했다.
관절내시경은 관절부위에 관절내시경을 삽입하여 문제를 진단하는 동시에 치료하는 수술법으로,관절 부위에 조그마한 구멍을 만든 후 관절경을 삽입하여 관절 내 문제를 진단하는 동시에 치료하는 수술방법으로 손상된 관절면을 다듬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관절내시경은 MRI로도 진단을 내리기 어려운 질환까지 정밀하게 진단이 가능하며, 수술 절개 부위가 작아 일상으로의 복귀가 빠르고 수술 후 통증이 적다.
김 원장은 “퇴행성 관절염은 무리한 동작의 반복, 올바르지 않은 자세 등이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유지할 수 있다. 노화로 발생하는 퇴행성 관절염은 피할 수 없지만, 평소에 건강한 관절을 유지하기 위해 무릎관절에 무리가 가는 동작을 최소화하고 꾸준히 근력운동을 한다면 관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비만은 무릎관절에 좋지 않기 때문에 평소에 적정 몸무게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