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딩뱅크’ 수성보다 ‘신뢰’…신한은행, 경영전략 수정

입력 2019-12-13 05:00수정 2019-12-13 13: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실적경쟁 벗어나 고객 중심 체질 개선…은행본업 기반 이익 창출 추진

진옥동 신한은행장은 취임 직후부터 ‘은행이 은행답기’를 주문했다. 그는 은행업이 수익에 매몰되는 ‘금융업’으로 변해선 안 된다는 생각을 직원들에게 지속해서 전달했다. 은행은 예금자의 돈을 빌려서 운영하기 때문에 그에 걸맞은 ‘적당한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진 행장이 목표수익을 높게 잡지 않은 것도 이러한 ‘적당한 이익’의 논리가 작동했다.

◇ “수익이 곧 성장과 안정?” = 국내 시중은행의 평가는 주로 ‘수익성’에 편중된 것이 사실이다. 이는 은행의 건전성, 안정성으로 대표되는 부실방지책을 자금의 축적으로 달성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마치 “먹히면 더 많이 넣으면 된다”는 식의 논리가 통용된 셈이다. 은행장의 연임 여부에도 수익성 지표가 따라붙는 것도 은행이 돈에만 집착할 수밖에 없는 이유로도 꼽힌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과거에 수익 경쟁을 하지 않아도 은행은 고유 업무 역할을 잘 수행했다”며 “최근에는 리스크를 관리한다는 이유로 은행이 돈 벌기에만 매몰되곤 했다”라고 비판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은 외국인 지분이 높기에 과도하게 벌어들이는 수익이 제대로 분배되지 않는 부작용도 있다”라고 지적했다.

은행의 이런 방향성은 병을 낳았고, 그 대표적 사례가 최근 대규모 투자 손실을 낳은 파생결합펀드(DLF) 사태다. DLF사태는 ‘적정한 이자’가 변수로 취급되지 않으면서 대규모 손실로 이어졌다. 무엇보다 DFL같은 리스크가 큰 상품을 은행에서 판매했다는 것 자체가 진 행장이 우려한 ‘은행의 금융화’였던 셈이다.

신한은행은 DLF 사태에서 빗겨났지만, 이번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수익 모델의 포트폴리오를 변경하려는 모습을 보이려고 한다. 신한은행은 최근 성과지표를 고객 중심으로 수정하면서 이러한 인식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진 행장이 목표 수익률을 하향하겠다고 요청한 배경에는 은행의 체질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로도 해석된다.

◇ “‘고객 중심’ 체질 개선이 되레 수익 창출해” = 진 행장의 의도는 은행 본래의 목표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자금 융통으로서 금융가에서 적극적인 주체였던 은행이 고객의 자금을 조달받아 ‘적당한 이자’를 추구하며 운영되는 소극적인 객체가 되겠다는 선언이기도 하다.

다만 은행이 수익 비중이 가장 높은 계열사이기 때문에 지주차원에서 수용하기 쉽지 않고, 리딩뱅크경쟁에 있어 불리할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오히려 이렇게 고객 중심으로 변화하고 은행이 체질 개선에 성공한다면 오히려 수익은 반등할 가능성도 있다. 수익성을 포기하는 선택이 장기적인 성과에는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금감원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보면 수익성과 건전성이 상충되는 것 같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두 가지는 같이 간다. 안정성을 추구해서 소비자 신뢰를 얻으면 고객기반으로 형성된 신뢰가 은행 수익으로 돌아온다”며 “은행들은 장기적으로 더 넓은 시각에서 이번 사태를 바라볼 필요가 있는데, 건전성을 추구할수록 수익성도 자연스럽게 좋아진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