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소규모 농가용 '스마트팜'…'빅데이터 단기활용' 시범서비스 시작

입력 2019-12-12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설비비용 400만 원 수준, 최소한 센서·장비 활용

▲'빅데이터 단기활용 서비스' 장비 및 서비스 제공 화면. (사진제공=농림축산식품부)
대규모 농장이 아닌 소규모 농가를 위한 저비용 스마트팜 서비스가 시작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소규모 단동온실 또는 진입 초기 농업인이 낮은 도입비용으로 온실 환경 데이터를 활용해 스마트 영농을 할 수 있는 시범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2일 밝혔다.

국내 비닐하우스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단동 위주의 소규모 농가와 영세하거나 초보 농업인의 경우는 초기 투자비용이 큰 스마트팜을 도입하기가 쉽지 않다.

농식품부는 이러한 국내 스마트팜 여건과 농업인의 요구에 농가에 최소한의 센서장비를 활용한 '빅데이터 단기활용 시범서비스'를 개발했다.

센서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온·습도, 일사량, CO2, 뿌리부위 온도)를 모바일에서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이를 토대로 전문가가 데이터를 분석해 환경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설치비용은 400만 원 내외로 대규모 온실뿐만 아니라 소규모 단동 비닐하우스도 데이터 기반의 작물 환경 및 병해충 방제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참여농가가 확대될 경우 설치비용을 200만 원까지 축소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시범서비스를 통해 온·습도 등 환경데이터를 활용한 병해충 예찰과 방제관리 시범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2022년부터는 민간 기업이 농가에 본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계획"이라며 "특히, 영세·소규모 농가도 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영농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해 스마트영농 확산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