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9/12/600/20191209093717_1399318_650_600.png)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지난해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8년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자산은 4억1573만 원이었으며, 소득 상위 20%인 5분위의 자산은 9억572만 원으로 조사됐다. 과연 성인남녀들은 얼마를 가지면 부자라고 생각하고, 평생 얼마를 모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을까.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성인남녀 4111명을 대상으로 ‘부자의 기준’을 조사한 결과, 부자라고 생각하는 총 보유자산 규모는 평균 39억 원으로 집계됐다. 단순히 계산하면, 연봉 5000만 원을 기준으로 한 푼도 안 썼을 때 78년을 일해야 모을 수 있는 액수다.
연령대별로는 30대(39억8000만 원), 40대(39억 원), 20대(38억7000만 원), 50대 이상(33억3000만 원)의 순이었다. 20대부터 40대는 기준 금액이 비슷한 반면, 50대 이상은 유일하게 다른 연령대보다 부자라고 생각하는 마지노선이 5억 원 이상 낮았다. 이는 다년간의 사회 경험과 더불어 정년에 접어들며 현실적으로 생각하는 기준이 낮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39억2000만 원)이 여성(38억2000만 원)보다 1억 원 가량 많았다. 기혼자(36억4000만 원)가 미혼자(39억9000만 원)보다 부자라고 생각하는 기준이 3억5000만 원 더 적었다. 결혼, 출산 등을 통해 지출이 커지면서 부유함을 판단하는 기준점도 낮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응답자들이 현실적으로 평생 모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자산은 이보다 훨씬 적은 평균 7억4000만 원 수준으로 조사됐다. 부자라고 생각하는 기준보다 무려 31억6000만 원이 적은 것.
성별로는 남성(8억5000만 원)이 여성(6억4000만 원)보다 2억1000만 원 많았으며,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기혼자(7억9000만 원)가 미혼자(7억 원)보다 9000만 원 높았다.
이렇게 재산을 모으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는 단연 ‘예/적금’이 65.1%(복수응답)로 1위였다. 계속해서 ‘복권/로또’(29.1%), ‘펀드/주식’(20.6%), ‘연봉 인상을 위한 이직 준비’(20.2%), ‘부동산투자’(15.4%), ‘투잡/부업’(10.6%), ‘창업준비’(10%) 등의 순이었으나, 8.8%는 ‘특별히 노력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올해 목표로 한 만큼 자산을 모을 것으로 예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무려 10명 중 8명(76.6%)이 ‘못 모을 것 같다’고 밝혀, 현실은 녹록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는 ‘조금 더 모으면 가능할 것 같다’고 답했으며, 3.4%는 ‘이미 모았다’고 응답했다.
한편 자산 증식에 방해가 되는 지출로는 절반 이상이 ‘식비 등 생활비’(55.5%, 복수응답)를 꼽았다. 이밖에 ‘학자금·주택자금 등 대출’(27.4%), ‘여행·문화생활비’(25.8%), ‘각종 보험료’(25.2%), ‘자녀 육아와 교육비’(22.3%) 등을 들었다.
또, 자산 증식을 어렵게 하는 외부 환경으로는 ‘낮은 연봉’(56.4%, 복수응답), ‘장기적인 경기 침체’(43.5%), ‘재테크 정보 부족’(33.2%), ‘가난한 집안 배경’(27.7%), ‘낮은 금리’(22.5%) 등이 있었다.